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국어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와 미얀마어 표현의 사전적 의미와 특성을 관찰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한국어 표준국어대사전과 미얀마어 대사전의 사전적 의미를 기본으로 하고 이와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의 필요성과 선행 연구를 제시하고, 한국어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와 대응할 미얀마어 표현의 사전적 의미와 특징을 살펴본 후 양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비교 결과로 한국어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 중 ‘조차’는 미얀마어 표현 ေတာင္/taung/과 가장 유사한 점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까지’, ‘마저’와 대응할 때 유사점도 있지만 의미적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도, 까지, 조차, 마저’를 전보다 상황과 문맥에 따라 잘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ctionary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uxiliary words ‘do, kkaji, jocha, majeo’, and Myanmar expression, that can respond to them. Based on the standard dictionary of both languages, it was compared and examined to find out i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ey have in terms of semantically. As a result of comparison, Myanmar expression /taung/ have the most similarity with ‘jocha’ than ‘do, kkaji, majeo’. When responding, ‘do’, ‘kkaji’, ‘majeo’, have a different in semantically.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Myanmar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in distinguishing and using of ‘do, kkaji, jocha, majeo’, in the situation and context better than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