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장애인근로자들의 차별경험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장애인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차별경험과 삶의 질 사이에서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전라남도 지역 장애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 자아존중감, 삶의 질 척도 등을 선정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은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차별경험과 삶의 질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장애인근로자들의 자아존중감이 차별경험과 삶의 질 사이에서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제언하면, 첫째, 참여대상의 지역적 연구범위와 표본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차별경험의 영향을 완화・개선할 수 있는 변수들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disabled worker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what mediating effect the self-esteem of disabled workers has between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lif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nd for verification, discrimination experience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cales of disabled workers were selected, measured, and analyzed.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disabled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Since the self-esteem of disabled workers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disabled worker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and sample of the participants. Second, follow-up studies on variables that can mitigate and improv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