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이슈인 ‘사회적가치’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사회의 사회적가치에 대한 보다 본질적인 인식이 어떠한가에 대한 진단을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사회적가치’와 관련한 최종 32개의 Q표본을 확보하여, Q표본에 대한 응답자 P표본 32명을 선정하여, Qunal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회적가치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결과, 4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TypeⅠ>은 ‘공동체가치형’ <TypeⅡ>는 ‘삶의질 강조형’, <TypeⅢ>은 ‘더불어 함께형’ 및 <TypeⅣ>는 ‘혁신마인드형’으로 명명하였고, 4개의 유형에 대한 전체 설명량은 52.62%로 나타났다. 둘째, 각 유형화별 응답자 분포 분석결과, <TypeⅠ>은 생활만족도가 ‘중’인 회사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고, <TypeⅡ>는 간호사, 조리사,사회복지사 등의 전문직의 분포가 높고, <TypeⅢ>은 남성의 회사원, <TypeⅣ>는 공무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각 유형간의 공통적인 Q표본으로는 ‘더불어 함께 삶의 실천이다’, ‘공동체적 삶의 실천가치이다’ 등의 ‘공동체’, ‘상생협력’ 및 ‘공유가치’ 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따라서, 이 시대의 사회적가치는 ‘더불어 함께 삶’, ‘상생’ 및 ‘공유가치의 실현’ 등을 바탕으로 그 가치가 실현가능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cessity of diagnosing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social value’, a recent issue.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various issues related to ‘social value’, and the final 32 Q samples were secured. Afterwards, 32 respondents from the P sample for the perception of the secured Q sample were selected to categorize their perception of social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 was defined as 4 types. <TypeⅠ> is named ‘Community Value Type’, <TypeⅡ> is ‘Quality of Life Emphasis Type’, <TypeⅢ> is ‘Living Together Type’, and <TypeIV> is ‘Innovative Mind Typ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respondents by 4 categories, <Type I> showed a high distribution of office workers with ‘medium’ life satisfaction, and <Type II> had a high distribution of professionals such as nurses, cooks, instructors, and social workers, In <TypeⅢ>, the distribution of male office workers was high. In <Type IV>, the distribution of civil servants was high. So, it was implied that the social values of this era are values to be realized based on ‘living together’, ‘coexistence’, and ‘realization of shared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