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서 율곡 이이가 화이론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기자실기」를 통한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향후 기자조선 및 기자동래설의 분석은 사실 적시 여부의 문제를 명분과 실리로 대응해야 하며, 중국측이 기자동래설 및 기자조선의 문제를 문화공정의 논리대로 왜곡하거나 편입하려는 문제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차제는, 문제제기, 기자동래설의 문헌적 선행연구,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 기자동래설의 철학실천 대응논리, 의의와 전망이다. 우리가 한국사상사상 단군조선을 건국신화의 역사로 인지한다면 한민족은 독자적인 민족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주창할 수 있다. 이와달리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21세기 왜곡적인 논리에 편입되거나 수용될 여지가 있다. 한국사상사상 역사적 사실인 단군조선과 연접이 될 수 있는 기자조선 및 기자동래설 등의 논의는 문화공정 등의 극복 뿐만 아니라 통일한국의 비젼이라는 점에서 학문후속세대의 육성 및 파급과 더불어 지속적인 연구가 진작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 「Gijasilgi」 of 『Yulgokjeonseo』, and to ascertain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hrough 「Gijasilgi」. In addition, the future analysis of Gija Joseon and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should respond to the matters of facts with justification and practical benefits for China`s Cultural Project and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atter that China incorporates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and Gija Joseon into the logic of China`s Cultural Project.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problem-posing, precedent literature research o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logic for responding to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and significance·prospect. If we recognize Dangun-Joseon in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as the history of our country's birth myths, we can claim that the Korean people has its own exclusive ethnic identity. On the contrary, if we can’t distinguish truth from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we are likely to be incorporated or accepted into the distorted logic of 21C. As the discussion about Gija Joseon and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hat can be the junction with Dangun-Joseon, which is the historical fact in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is not only the overcoming of China`s Cultural Project but also the vision of unified Korean Peninsula,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along with the spread to academic future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