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논문에서는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남북한 연구자들이 율곡을 비롯한 조선유학자들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연구를 공동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북한 연구자들은 국내 연구자들과 달리, 조선유학사를 지역에 기반한 학연이나 지연에 의한 학파로 구성하지 않고 사상적 내용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구성하면서 사회정치사상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북한 연구자들은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을 정치사상과 사회개혁사상으로 나누어 논의하면서 율곡이 어떠한 시대적 문제의식으로 정치사상을 구축했는지에 대해 먼저 서술한다. 이러한 북한 연구자들의 학문적 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성학(聖學)의 맥락에서 확립된 율곡의 정치사상을 유물론의 관점에서 계급투쟁에 관한 진보적 정치 이념으로 편향된 해석을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율곡의 사회개혁사상에 관해서는 북한의 철학계 연구자들과 더불어 경제학계와 교육학계의 연구자들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북한의 철학계 연구자들이 율곡의 경제개혁사상과 교육개혁사상에 관해 자세히 다루지 못한 내용을 북한의 경제학계와 교육학계 연구자들이 정밀하게 분석하면서 율곡의 사상사적 위상을 실학파 학자들과 연관하여 조명하기도 한다. 비록 북한 연구자들의 학문적 관점이 정치적으로 편향된 문제가 있다고 할지라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율곡의 사회개혁사상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북한 연구자들의 근황은 국내 연구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전반적으로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면도 있지만, 유물론의 관점에서 계급투쟁의 정치적 문제에 천착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사회정치사상을 선진적이라고 규정하면서도 봉건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평가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남북한 연구자들이 율곡을 비롯한 조선유학자들의 사회정치사상에 관한 연구를 공동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북한 연구자들의 관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특히 북한의 교육학계 연구자들이 사회계급의 정치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율곡의 교육론을 적확하게 비판하면서 율곡의 교육사상에 담긴 본질적 의미를 성학 공부론의 관점에서 논하는 대목에 주목하여 남북한의 공동연구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In this thesis, the study on Yulgok’s social and political ideas in North Korea was critically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earchers develop together the study on the social and poliltical ideas of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including Yulgok was explored.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not by school connections based on a region or regionalism but centered around the contents connection of ideas, and of focusing on social and political ideas,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n researchers. They discuss Yulgok’s social and political ideas in the category of political thoughts and social reform thoughts, and describe first with what critical mind of the times Yulgok established his political ideas. This academic attitude of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can be evaluated positively, yet, there is the problem that they interpret Yulgok’s political ideas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Sage Learning(聖學) from a biased materialistic point of view regarding a liberal political ideology as for social clas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n Yulgok’s social reform in North Korea is important not only in the field of philosophy but also in the areas of economics and pedagogy. The researchers in the areas of economics and pedagogy analyze rigorously what the researchers in the area of philosophy in North Kore haven’t dealt closely with regarding Yulgok’s economic and educational thoughts, and examine Yulgok’s ideological status in relation to Silhak school. Even though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have the problem of making a politically biased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terialism rather than consid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it’s still meaningful that the researchers from different academic fields study Yulgok’s social reform idea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ology. The study on Yulgok’s political and social reform ideology in North Korea has the positive aspect on the whole, but it has the limit of interpretation with focus too much on the problem of social class from the position of materialism. Accordidngly, in this thesis, the study in North Korea, which defines Yulgok’s political and social reform ideas as advanced but also evaluates that they were not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feudalism, was critically examined. For the researchers in South and North Korea to develop together the study on the social and political ideas of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including Yulgok,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need to change their position of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s Confucianism from too much focus on the frame of materialism to the viewpoint of pursuing only the progresisve political ideolog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earchers can investigate Yulgok’s pedagogy together was explored particularly focusing on that the researchers in the education field in North Korea don’t focus on the political problem of this social class, but discuss the essential meanings of Yulgok’s educational thoughts from the viewpoint of study theory of Sage Learning criticizing Yulgok’s pedagogy prop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