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RCEP 발효 후, 한국의 주요 수출 상품 20개 품목에 대해 한․중․일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국제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품목별 시장점유율, 불변시장점유율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분석 결과, 한국의 대 호주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한국의 대 뉴질랜드 시장의 HS2710(석유와 역청유)품목과 HS7210(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의 시장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추세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중·일의 대 호주 불변시장점유율 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한국과 일본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데 반해 중국은 몇몇 품목에서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대 뉴질랜드 시장의 수출증감액 분해 결과를 보면, 대부분 상품의 수출 감소하는 이유는 모든 경쟁력 요인과 상품공급구조변동 요인 분석 결과는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대 뉴질랜드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s 20 major export items in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markets with those of China and Japa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trade statistics were extracted using UNcomtrade Data, and analyzed using Constant Market Share and Market Share models for each item.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s market share in the Australian market is strong, and the market share of HS2710 and HS7210 in Korea's New Zealand market is relatively high. appeared as a trend. And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constant market share of Korea, China, and Japan to Australia, overall, Korea and Japan show a gradual decrease, while China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in some items. Conclusions : In this study, Korea needs a strategy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for items in which the market share of rival countries is increasing, and a business model that can utilize RCEP should b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