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1년도 ADB-MRIOT 국제산업연관표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 수출입 항만물동량 통계를 접목하여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ADB-MRIOT 35개 산업과 Port-MIS의 화물품목을 서로 매칭하여 14개 산업부문으로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수출입 유발액과 항만물동량 원단위를 곱함함으로써 항만물동량 및 컨테이너물동량 유발효과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국과 미국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라 전기 및 전자기기,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의 항만물동량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영향력 측면에서 항만물동량 변수가 부가가치 변수에 비해서 훨씬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구축 모형은 정부의 항만관련 상위계획 수립 단계에서 글로벌 통상여건 변동에 따른 항만 물동량을 예측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rade conflicts between China and USA on Korean seaborne export and import volume using input-output analysi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mploys input-output analysis (i.e. trade in value added and maritime volume inducing effects), which combined ADB multi-regional input-output tables with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ort-MIS) statistics of the year 2021. Results : Analysis results reveals that China-US trade conflict induced a large drop in seaborne trade volume of “electrical and optical equipment,”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and “other nonmetallic minerals.” In the perspective of the impact of USA-China trade war, the variable of seaborne trade volume has more elasticity than value added variable. Conclusions : Combination of ADB multi-regional input-output tables with Port-MIS statistics will expand the scope of trad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formulated model will contribute to helping in forecasting seaborne trade volume according to varying global trade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