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유는 모든 욕망을 추구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법화경의 장자궁자(長者窮子), 누가복음의 탕자, 렘브란트의 '방탕한 아들의 귀환'과 앙드레 지드의 문학작품, 완월회맹연 등이 수록된 '타락한 아들 시리즈'는 인간 존엄성의 근간이자 토대이다. 이는 개인의 부나 지위에 따른 것이 아니라 자연적 성향을 있는 그대로 인식함에 따른 것임을 강조한다. 아버지는 아들의 성공을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탕자 시리즈’는 동서양의 종교, 문학, 예술에서 발견되는 개인의 ‘일탈’로 치부되면서 ‘자유’의 가치를 강조한다. 창조적이고 도전적인 정신이 나타난 것은 ‘자유’로 인한 것이다. 탕자 시리즈는 자유에 대한 허용이 아버지의 허락으로 최고점을 이룬다. 《탕자 시리즈》는 인간 존엄성을 근간으로 하는 시대가 요구하는 정체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들 작품의 구조와 맥락은 거의 유사하지만, 민족적 습관과 종교적 성향, 가부장제에 관련된 사회적 경향 등등으로 다양하게 분석된다. 게다가, 그것들은 붓다가 출가를 영위하기 위해 그의 집을 버렸다는 설명과 유사하다. 분석의 핵심은 탕자가 집으로 돌아오는 결과적 사건을 주요하게 다루며, 긍정적이고 부정적으로 자유를 지향하는 삶에 대한 다양한 장르에서 대조적인 서술과 해석의 소개에 있다.


Freedom is a prerequisite for pursuing all desires. The Prodigal Son Series, which includes the prodigal son of The Saddharma Pundarika Sutra, the prodigal son of the Gospel of Luke, Rembrandt's ‘Return of the prodigal son,’ Andrejid's literary work, and the Wanwolhoemaengyeon (玩月會盟宴), is the foundation and foundation of human dignity. It emphasizes that this is not based on the wealth or status of an individual but on recognizing the natural tendency as it is. A father does not evaluate his son based on his success. The Prodigal Son series highlights the important value of freedom, examining deviations found in religions, literature, and paintings in the East and West. It was from the freedom to dream of deviance that a creative and challenging spirit emerged. Allowance for freedom peaks with father's permission. The "The Prodigal Son Series" is rooted in the identity demanded by the times based on human dignity.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these works are almost similar, but they are analyzed in various ways by ethnic habits, religious tendencies, and social trends related to patriarchy. In addition, they are similar to the explanation that Buddha abandoned his house to become a priest. The key to the analysis is the introduction of contrasting de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in various genres of life, which deals primarily with the consequential events of the Prodigal's return home, and positively and negatively toward free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