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규제의 틀에서 소극적으로 대응할 것인가? 규제 밖에서 적극적으로 선점할 것인가? 우리나라 기업들이 국내에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준수와 글로벌 시장에서 넷제로(Net-zero) 이행 앞에 당면한 현실이다. 이에 국내 이해관계자들은 규제적 탄소시장과 자발적 탄소시장에 동시다발적으로 뛰어들어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CDM으로 대변되는 규제적 탄소시장에서 추진하던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자발적 탄소시장 사업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외부사업의 전환옵션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 방법론인 실물옵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배출권 현물가격 하에서는 규제적 탄소시장에서 자발적 탄소시장으로의 전환옵션은 비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환옵션이 합리적이기 위해서는 국내 배출권거래제 배출권 가격이 더욱 하락하거나 자발적 배출권 가격이 상승해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은 발생하기 어려울 것이다. 결과적으로 규제적 탄소시장과 자발적 탄소시장은 이원화된 상태로 존재할 것이며, 시장 참여자는 자신의 목적에 따라 자신이 참여하는 시장을 합리적으로 선택해야 할 것이다.


Will we respond passively within the regulations? Will we actively preempt outside the regulations? Korean companies are facing the reality of complying with the GHG emission trading system in Korea and implementing Net-zero pathway in the global market. Accordingly, domestic stakeholders are simultaneously jumping into the compliance carbon market and the voluntary carbon market to develop GHG offset projects. This paper analyzed the switching option on offset project from compliance carbon market represented by CDM to voluntary carbon market. The real option approach which is decision-making methodology under uncertainty is used to analysis switching op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witching option from the compliance carbon market to the voluntary carbon market is unreasonable under the current carbon spot price. In addition, for the switching option to be reasonable, the carbon price in the Korean emission trading scheme should fall further or the carbon price of voluntary carbon market should rise, which would be difficult. As a result, the compliance carbon market and the voluntary carbon market will exist in dual state. And market players will have to rationally select the carbon market they participate in according to their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