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천황의 교지로 궁내성에서 발행한 열전형식 수신 교과서 『유학강요(幼學綱要)』(1882)에 등장하는 일본인물의 제반 형상과 표상체계를 파악하여, 근대일본에서 ‘문화적 정통(캐논)’이 발명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유학강요』의 체제를 알아보고, 메이지기 새롭게 출현한 ‘수신’ 교과의 위상을 규명하였다. 또한 등장인물의 실제 전기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활약시기, 신분 및 계급, 부가인물과의 관계를 살폈다. 근대일본이 민족의 ‘전통’을 ‘발명’하기 위해 천황을 정점으로 한 상상된 공동체를 구상했듯이, 『유학강요』 속 고대와 중세 시기 인물은 각각 천황의 친정, 남조 정통론을 부각시키는 매개로 표상되었다. 한편, 근세 시기 인물은 고유한 학문적 정통성을 반영해 천황제 이데올로기로 수렴되지 않은 다양한 가치체계를 드러냈다. 이로써 본고는 『유학강요』가 근대일본의 최초의 ‘공적’ 교육서로서 국민교화를 포함한 시대적 지향을 내포하고, 일본 전시대에 걸쳐 국민이 자랑하고 계승해야만 하는 여러 문화적 요소를 특정 인물을 통해 표상하고 있음을 밝혔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various shapes and representation systems of Japanese figures in the moral textbook Yōgaku kōyō(1882) published by the Imperial House Japan under Meiji Tenno, and the process of "cultural legitimacy(canon)" invented in modern Japan. First, the system of Yōgaku kōyō and the status of new “moral” subject appeared in Meiji period were examined. In addition, based on the biography of figures, the specific period of activity, status, and relationships with additional figures were examined. Just as modern Japan created a community of imaginations with the Emperor at the top, the ancient and medieval figures were represented as an intermediation magnifying direct rule of the Emperor and Southern Court orthodoxy. On the other hand, the figures of early modern age reflected academic orthodoxy and various value system that are not converged upon ideology of Emperor system. As such, we revealed that Yōgaku kōyō functions as the first "public" educational textbook in modern Japan, contains a historical orientation including national education, and represents various cultural elements that Japanese should be proud of and inherit through a specific figure.


本稿は天皇の敎旨として宮内省が発行した列伝形式の修身教科書『幼學綱要』(1882)の日本人物の諸般の形状と表象体系を把握し、近代日本で「文化的正統(キャノン)」が発明される過程を考察する。まず『幼學綱要』の体制を調べ、明治期に新たに出現した「修身」教科の地位を究明した。また、登場人物の実際の伝記を基に具体的な活躍時期、身分および階級、付加人物との関係を調べた。近代日本が民族の「伝統」を「発明」するために天皇を頂点とした想像された共同体を構想したように、『幼學綱要』に登場する古代と中世の人物は天皇の親政、南朝正統論を浮き彫りにする媒介として表象された。一方、近世の人物は固有の学問的正統を反映し、天皇制イデオロギーに収斂されていない価値体系を示した。このように本稿は『幼學綱要』が近代日本の最初の「公的」教育書として国民教化や時代的指向を内包し、日本の全時代にかけて国民が誇り継承しなければならない文化的要素を特定人物に通じて表象し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