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글쓰기 논저에서의 번역 투 논의를 검토하고, 그것의 수정 사례를 중심으로 번역 투의 기능과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우선 대학 글쓰기 관련하여 논문과 글쓰기 교재, 교양서 등을 살펴 빈번하게 논의되어온 번역 투를 찾아보았다. 대학 글쓰기 관련 연구논문은 대학생 글쓰기 사례를 통해 번역 투의 실제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 글쓰기 교재는 번역 투를 심도 있게 다루기보다는 간단히 언급하는 수준이었고, 글쓰기 대중 교양서가 더 자주 번역 투를 다루고 있었다. 이어 번역 투 제시 양상을 6개 항목으로 나누어 수정 사례를 살펴보았다. 가장 빈번히 논의된 이중피동을 시작으로 피동과 사동, 영어 전치사, 일본어 조사와 후치사, 영어 시제 등의 번역 투와 수정 사례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적어도 글쓰기 교육에서라면 일본어나 영어 기원 등 그 기원을 문제로 하여 번역 투를 문제시하기보다는 번역 투가 가진 기능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각각의 번역 투가 갖는 기능과 의미는 한국어학의 논의를 빌려 거칠게나마 설명이 가능한바 이러한 설명을 토대로 글쓰기 교육에서도 글의 맥락과 장르에 따라 번역 투에 대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In this study,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ranslationese in thesis writing is examined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why do we use translationese?” First, the most common instances of translationese are reviewed by examining research papers, writing textbooks, and popular books on writing.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only briefly mention translationese as opposed to popular books on writing which deal with the issue more extensively, and research papers on college-level writing which show the reality of translationese with real-life examples from college students. Second, the different recommendations for the correction of translationese in these works are divided into six types and the following concrete examples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with which they are addressed: double passives, passives and causatives, English prepositions, Japanese particles and postpositions, and English tenses. Both the examples of translationese and the suggested corrections within the literature are then reviewed.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ranslationese should be considered foremost, at least in writing education, rather than simply questioning its origins (for example, Japanese or English) and deeming its use a problem. A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ranslationese can be analyzed through concepts borrowed from Korean studies, such approaches must be taken in regard to writing education, and translationese should be explained in relation to its context and the genre of the writing it appears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