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가혁신 역량수준을 파악하는 지표 중의 하나인 세계혁신지수(GII)를 비롯하여 그 하위지수인 혁신투입지수(III)와 혁신산출지수(IOI) 그리고 이 두 지수의 구성지수인 제도, 인적자본과 연구, 인프라, 시장성숙도, 기업성숙도, 지식과 기술의 성과, 창의적 성과 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민주주의 지수를포함한 국가체제와 GNI를 포함한 소득수준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국가의 혁신결과에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결과를나타내는 종속변수에 대한 민주주의 지수와 GNI의 상관분석 결과는 모든 관계에서 유의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가지 국가체제와 4분위별 소득수준에 따른 혁신결과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는 국가제체에 따라 그리고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민주주의 국가체제일수록, 고소득국가일수록 혁신결과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체제와 소득수준이 혁신결과에 미치는 영향분석에서는 완전한 민주주의 국가와 고소득국가일수록 혁신결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함의로는 국가의 혁신역량을 설명하는 이론적 기본 모형과 추격국가와 후발국가들에 대한 기본 참조모형으로서 의의를 갖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the secondary data of the national regime including democracy index and income level including GNI as factors influencing the Global Innovation Index (GII), one of the indicators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national innovation capacit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democracy index and GNI for the dependent variable representing the innovation resul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relationships. Second,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innov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four national regimes and the income level by quarti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ational system and the income level, and the more democratic the national system and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higher the innovation result.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national system and income level on innovation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fully democratic countries and high-income countr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presented as having significance as a theoretical basic model that explains the country’s innovation capacity and as a basic reference model for catching up countries and latec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