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김승희의 ‘밖’에 대한 사유가 본격화하는 제5 시집 『어떻게 밖으로 나갈까』(1991)를 중심으로 김승희 시에 나타나는 ‘안’과 ‘밖’의 이중 구조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시집이 김승희의 시세계에서 어떤 자리에 놓이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봄으로써 수록 시편들을 재평가하고자 했다. ‘안-밖’의 이중 구조를 띠는 시에서도 시적 주체는 그러한 구도에 매몰되지 않고, ‘사이’의 지대를 만든다. ‘안’과 ‘밖’에 대한 시적 주체의 가치판단은 뚜렷하게 나타나기보다는 계속해서 지연된다. ‘안’은 ‘밖’으로 나가기 위한 예비적 단계 혹은 속박의 상태로 읽어낼 수도 있지만, 그와 동시에 ‘나’가 삶을 굴려 가는 기반이다. ‘밖’은 시적 주체가 도달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그려질 때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도시 문명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그동안 김승희의 시세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제5 시집 『어떻게 밖으로 나갈까』는 좀 더 적극적으로 평가될 필요가 있다. 김승희가 보여준 유목과 환유의 상상력은 그의 시를 안과 밖의 대결 구도에만 머물지 않도록 하였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dual structure and meaning of “inside” and “outside” that appear in Kim Seung-hee's poetry. We especially focus on How to Get Out(1991), where Kim Seung-hee's thoughts on “outside” are in full swing. In particular, we attempt to reevaluate the poems by looking at the place and meaning of this poem in Kim Seung-hee’s world of poetry. Even in poetry with a dual structure of “in and out,” the poetic subject is not buried in such a structure, but creates a “between” zone. The poetic subject's value judgment on “inside” and “outside” continues to be delayed rather than clearly appearing. “An” can be read as a preliminary step or a state of restraint to go outside, but at the same time, “I” is the basis for rolling life. “Outside” is sometimes drawn as a space that the poetic subject wants to reach, but also serves as a basis for looking critically at urban civilization. Kim Seung-hee's fifth collection of poems How to Get Out, which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world of poetry, needs to be evaluated more actively, as the poet’s imagination of nomadism and metonymy takes her poetry beyond the “in” and “out” confro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