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이끌어 주는 중요한 변인이다. 이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켜주는 데 필요한 환경요인과 내적 역량을 높여주기 위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켜주기 위해 개입 방안들을 찾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서 재학 중인 중ㆍ고등학생 7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가족건강성의 수준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건강성의 수준이 높아지면 공동체의식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공동체의식의 수준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삶에 대한 인지적 만족감을 높여주기 위해 가족생애주기의 변화에 기초해 가족유대와 긍정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교육하고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를 촉진시켜주는 사회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청소년이 공동체에 참여하여 소속감을 가지고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의식을 증진시켜주기 위해서 교육현장과 청소년활동단체에서는 상호 연계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청소년활동단체가 효과적인 집단체험프로그램을 구축해갈 수 있도록 교육당국의 정책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Backgrou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promoting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s. This study, therefore,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cognition for the need to enhance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nal competency, which are necessary for increasing their life satisfac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ommunity spirit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family strength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find out intervention methods for enhancing the life satisfaction. Methodology: To this end, it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775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by using SPSS and AMOS. Find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family strength, the better the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better the family strength, the better the community spirit. Third, the better the community spirit, the better the life satisfac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community spirit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strength and the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stressed the necessity of social efforts to develop programs which can educate and train family bonds and positive communication, and to encourage adolescents to participate in them, based on changes in the family life cycles, in order to enhance adolescents’ cognitive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fields and the youth activity groups should reinforce interrelated programs to encourage the youth t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and have the sense of belonging and to enhance their consciousness for taking care of others, and that educational authorities need to give policy support for the youth activity groups to establish effective group experienc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