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성과로써의 재고최소화와기후변화대응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에너지효율성 간의 관계를 검토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거리함수에 기초한 에너지효율성을 정의한 뒤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 을 통해 에너지효율성을 측정한다. 그리고 재고최소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Eroglu & Hofer(2011)가제안한 실증최소화지표(Empirical Leanness Indicator)를 사용한다. 특별히 이산성(Heteroscedasticity)이 고려된 반정규분포(Half-normal)하의 확률변경분석 모형(Stochastic Frontier Analysis Model)을 통해 에너지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최소화의 영향을 분석하며, 에너지비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최소화의 한계효과(Marginal Effect)를 검토한다. 또한 재고최소화의 한계효과와 기업규모 간의 관계를추가로 살펴본다. 분석대상은 국내 70개 철강기업이며 2011~2019년 자료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강기업의 평균 에너지효율성은 약 0.958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최소화의 효과는 양의 값을 보였다. 셋째, 에너지비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최소화의 평균 한계효과는 –0.045였다. 넷째,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에너지비효율성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재고최소화의한계효과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첫째, 에너지효율성 개선을위한 방안으로 철강기업의 실무관리자들은 린방식 운영관릴 적극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에너지효율성 제고측면에서서 큰 규모의 철강기업일수록 더욱 적극적인 린방식 운영관리의 도입·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nergy efficiency of Korean steel firm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performance as measured by inventory leanness and energy efficiency—a increasingly critical topic to effe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To this end, based on a distance function, we define the energy efficiency and apply the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o measure the energy efficiency. Moreover, in order to measure inventory leanness, we rely on the empirical leanness indicator developed by Eroglu & Hofer (2011). Then, employing the stochastic frontier half-normal model with heteroscedasticity,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inventory leanness on energy efficiency. Additionally, we estimate the marginal effect of inventory leanness on energy inefficiency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ginal effect of inventory leanness and firm size. We use the dataset of 70 Korean steel firms over the period from 2011 to 2019.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average energy efficiency of Korean steel firms is around 0.958. Second, we show the positive effect of inventory leanness on energy efficiency. Third, we find that the average marginal effect of inventory leanness on energy inefficiency is around -0.045. Fourth, we show that the marginal effect of inventory leanness, which plays in the direction to the reduction of energy inefficiency, increases as the firm size increases. Based on the main results, we provide two manageri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o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the mangers in steel firms need to actively utilize the lean operations in their production systems. Second, for the improvement in energy efficiency, the larger steel firms should apply lean operations more a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