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한 모더니티 극복의 과제와 관련하여 고전 서사 문학이 갖는 의미를 탐색했다. 구체적으로는 모더니티 극복의 방안인 주체성의 해체적 재구성 작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조선시대의 애정소설이 어떠한 가르침을 줄 수 있는지를 고찰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먼저 데카르트에 의해 마련된 근대 주체성의 형이상학을 비판적으로 살펴본 다음, 자기중심적으로 왜곡된 주체성을 해체하고 재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자기중심적 주체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계론적이고 존재론적인 사유가 요청된다는 점, 언어 예술의 하나로서 고전 서사문학이 이러한 가능성을 탁월하게 개현해주는 영역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몇 편을 살펴본 바 있다. 이는 애정의 문제가 해당 시대와 사회를 살펴보는 데 좋은 조건을 제공해준다는 점, 한편으로 공통성 안에서 개별성을 구현하며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인간적 삶과 앎의 존재론적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기에 지금-여기를 조명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준다는 점, 어떤 점에서 자기중심적 주체성의 구현이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 애정의 문제가 오히려 우리가 처해있는 사태의 문제적인 면모를 더욱 제대로 드러낼 수 있는 기제가 된다는 점 때문이다. 본고는 <운영전(雲英傳)>, <춘향전(春香傳)>, <숙향전(淑香傳)>, <포의교집(布衣交集)>, <심생전(沈生傳)>,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 <옥소선(玉簫仙) 이야기> 등을 자유롭고 열정적인 사랑이라는 테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주체성의 다면성을 탐색하고 탈중심적 주체성을 모색하여 우리 시대의 균형 있는 삶과 앎을 마련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그 결과 현대의 독자는 상기의 작품을 읽으면서 개별성만을 발현하는 삶이 아니라 공통성과의 관계 안에서 균형 있는 삶을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간취하고, 나아가 지금-여기의 공통성과 개별성에는 문제가 없는지를 물음으로써 탈중심적인 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는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본고에서 논의한 조선시대의 애정소설이 갖는 현재적 의미 가운데 하나이다. 물론 작품 읽기를 통해 생성한 인식론적인 가능성이 실천적인 행위로 이어지고, 이러한 관계론적인 사유와 실천에서 나아가 존재론적인 삶을 살 수 있을 때 주체성의 해체적 재구성 작업은 잠정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시론으로서 이 논고가 갖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모더니티의 극복에 있어서 작은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classical narration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task of overcoming modernity, which is still valid today. Specifically, we considered what could be learned from romantic novels of Joseon Dynasty about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subjectivity, a method of overcoming modernity. To this end, we first criticized R. Descartes' Cogito and suggested that the subjectivity distorted by egocentric should be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In addition, we discussed several romantic novels of Joseon Dynasty, noting that relational and ontological ideas should overcome problematic subjectivity. We also found that classical narration literature, one of the language art, would an area that could guarantee this possibility well.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affection provides good conditions for examining the time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human life and knowledge, which inevitably exists within Gemeinsamke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illuminate and reflect on it. In some ways, the issue of affection can reveal the problem of what we are facing. In this paper, we explored various aspects of subjectivity while reading Unyeong-jeon (雲英傳), Chunhyang-jeon (春香傳), Sukhyang-jeon (淑香傳), Poeuigyojip (布衣交集), Simsaeng-jeon (沈生傳), Sukyeongnangja-jeon (淑英娘 子傳), and Oksosun (玉簫仙) Story, focusing on the theme of free and passionate love. We discovered ex-zentrisch subjectivity to prepare a balanced life and knowledge of our time. As a result, the reader knows that it is important to live a balanced life not just in an individual's life, but in a relationship with Gemeinsamkeit. The reader also further asks if there is any problem with life here and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o secure ex-zentrisch subjectivity. This is one of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romantic novels of Joseon Dynasty discussed in this paper. Of course, when epistemological possibilities generated through reading the work lead to practical actions and when you can live an ontological life beyond these relational thoughts and practices, the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of subjectivity can be tentatively completed. Despite limitations of this article as a pilot discussion, this study could offer a small help for us to overcome moder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