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피드백의 변화는 문제중심 단기치료에서 해결중심치료로의 전환에 중추적 역할을 했으며, 이후 해결중심치료의 주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 발전했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피드백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해결중심치료의 과정 중 피드백이 구축되는 장면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은 기계적이거나 직선적이기보다는 역동적인 의사소통 과정의 산물이었다. 피드백의 구축 과정에서 팀원들은 내담자의 문제에 대해 논의도 하고, 내담자의 상황과 처지에 공감하며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때론, 내담자의 상황에 대해 이견을 보이기도 했다. 둘째, 내담자의 심각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두 사례 모두에서 숙련된 상담자들은 내담자 스스로 해결을 구축할 수 있었던 자원과 변화에 주목하는 ‘해결대화’를 스스로 시작할 수 있었다. 이때 팀원들이 주목한 것은 변화의 주체자로서 내담자가 사용한 ‘해결의 언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피드백의 구축은 내담자의 해결에 초점을 둔 사회구성적 의미 생성의 장으로서 기능하며, 미래지향적이고 해결의 확장에 초점이 있음을 주장한 해결중심치료의 이론을 경험적으로 지지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의미를 가진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피드백의 실천적, 이론적 함의에 대한 논의를 제공했다.


Objectives: The change in feedback initially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transition from problem-focused brief therapy to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SFBT), later developing into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SFBT approach.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feedback so far.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by using two cases to analyze the scenes in which feedback was built during the process of SFBT.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edback was the product of a rather dynamic, rather than a mechanical or linear interactive process. Second, despite the serious problems of the clients, in both cases, the counselors were able to initiate ‘solution talk’ by themselves, paying attention to the resources and changes that the clients were able to apply to building a solution for themselv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empirically support the theory of SFBT, which claims that feedback in SFBT is future-oriented and focused on the expansion of solutions rather than past-oriented and focused on problem elimination. A discussion of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feedback was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