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64~1965년에 전개된 한일협정 반대운동에서 운동의 주체로 학생과 야당 외에 지식인들, 특히 대학 교수들이 등장했다. 당시 교수들은, ‘교수단’의 ‘성명서’ 형태로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참여했다. 한일협정이 국회에서 비준된 후 박정희 정부는 물리력을 앞세워 그동안 자신과 맞섰던 대학을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이 과정에서 운동 주도 학생들과 더불어 일부 교수들이 ‘정치교수’로 낙인찍혀 대학에서 축출되었다. 특히 이들 중에는 당시 박정희 정부에 가장 비판적이었던 『사상계』와 『동아일보』에 깊이 관여한 교수들이 많았다. 교수들의 한일협정 반대운동 참여와 이에 따른 ‘정치교수’ 파동은 이후 박정희 정부가 대학의 ‘정상화’를 명분으로 교수들을 제도적, 항시적으로 통제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그 결과 교수들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적극적으로 나서기가 갈수록 어려워졌다. 이에 한편에서는 경제개발과 맞물려 전문성과 기능성을 강조하는 지식인관이 강화되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다수의 교수와 지식인들이 박정희 정부가 학문과 정치 사상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갖게 되었다.


In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that unfolded between 1964 and 1965, not only students and opposition parties, but also intellectuals, especially university professors, emerged as the main actors of the movement. At the time,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in the form of a ‘statement’ by the ‘professor group’. After the Korea-Japan Agreement was ratifi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used physical force to massively suppress universities that had stood up to it. In this process, some professors along with students leading the movement were stigmatized as ‘political professors’ and expelled from the university.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professors who were deeply involved in the Sasanggye and the Dong-A Ilbo , which were the most critical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at the time. The participation of professors in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resulting ‘political professor’ crisis later became a turning point in which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to systematically and permanently control professors in the name of ‘normalization’ of un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