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모교육프로그램과 부모의 자아개념 상관성에 대한 연구문헌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 하였고, 향후 자아개념 향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 적용의 실증적인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22년 10월까지의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중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에서 제시한 표준화된 6단계 과정을 거쳐 최종 40편을 선정, 결과를 도출하였다. 빈도와 백분율을 통해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첫째, 어머니 참여자가 82.5%, 대상자 수는 21명~30명이 32.5%, 자녀 연령은 유아가 37.5%,, 양적연구방법 92.5%. 학위논문 52.5%, 측정척도는 Rosenberg(1965) 고안의 자아존중감 검사가 50.0%, 부모교육 진행시간은 20시간이 22.5%, 8회기가 35.0%로 가장 높았다. 둘째, 진행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17개 중 가장 많이 진행된 것은 집단상담 부모교육(17.5%), TA(15%)등의 순이었고, 부모의 자아개념 향상에 유의미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무의미한(APN, 현실치료, 독서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해서 자아개념 향상에 무의미함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 또한 아버지의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자아개념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제시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subject scope literature for research records o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education programs and parental self-concept, and I hereby intend to apply this study as empirical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of future self-concept improvement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this end, among domestic academic and degree papers from 1997 to October 2022, I selected the final 40 articles through the standardized six-step process presented in the Scoping Review metho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are as follows. First, 82.5 percent of mother participants, 32.5 percent of 21 to 30 subjects, 37.5 percent of child age infant, 92.5 percent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52.5 percent of degree papers, 50.0 percent of Rosenberg (1965) self-esteem tests, 22.5 percent of parent education, and 35.0 percent of eighth sessions. Second, among the 17 type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conducted, group counseling parent education (17.5%) and TA (15%) were the most conducted, and those were meaningful for improving parent self-concept. However, just because this is a statistically meaningless program(APN, reality therapy, reading education) does not mean that it is generally meaningless to improve self-concept. Additionally, this suggests the need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fathers' participation, and is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elf-concept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