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법 영역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초·중·고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 차원의 경우,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의 비중이 높았다. 인지 과정 차원의 경우, ‘이해하다’, ‘분석하다’의 비중은 높았지만, ‘적용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의 비중은 매우 낮아 다양한 인지 과정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지식 차원의 유형에 따라 가장 많이 연결되는 인지 과정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학교급별로 살펴본 결과, 상위 학교급으로 올라갈수록 지식의 위계에서 상위에 있는 지식의 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과정 차원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이해하다’와 ‘분석하다’가 주로 사용되었다. 고등학교에서도 ‘이해하다’와 ‘분석하다’가 많이 사용되기는 하였지만, 이외의 유형도 다양하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였다. 성취기준의 학습 내용과 서술어를 다양화해야 하고, 학생들의 생활 경험과 인지 발달 수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학습 내용과 서술어를 활용해야 한다. 또한, 성취기준의 의도가 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교과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안내자료 제공 등이 이루어져야 하고, 사회과 법 영역 성취기준에 관한 심화된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law-related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extbook development, classroom instruction, and futur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r this purpose,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can examine the cognitive aspects of law-related education achievem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the proportion of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as high but ‘procedural knowledge’ was low. Second,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e proportion of ‘understand’ and ‘analyze’ was high but not many other factors were presented. Third, depending on the type of knowledge dimension, the most combine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differen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he school,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knowledge in the hierarchy of knowledge.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es, 'understand' and 'analyze' were mainly us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high school, 'understand' and 'analyze' were used a lot, but it was found that various types were us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ints were suggested. Learning content and predicat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diversified, and appropriate learning content and predicates should be us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ife experiences and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In addition,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guidance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intent of achievement standard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n-depth follow-up studies on achievement standards in law-relate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