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메타버스가 미래 핵심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지만 이용자들의 반응은 그리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이용거부자들의 이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하였다. 혁신저항모형을 기본 틀로 활용해 지각된 혁신 특성(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적합성, 지각된 복잡성, 지각된 혁신기대), 지각된 위험(지각된 디지털 범죄 위험, 지각된 사회적 평가 위험, 지각된 개인정보 노출 위험), 소비자 특성(자기효능감, 새로움 추구 성향), 확산 메커니즘(메타버스 관련 기사, 홍보 콘텐츠) 등의 변인들이 메타버스 이용저항(보류, 거부)에 미치는 개별적·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메타버스의 개념은 알고 있지만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전국 규모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각된 적합성, 지각된 복잡성, 지각된 혁신기대, 지각된 개인정보 노출 위험은 메타버스 이용 보류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고,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적합성, 지각된 복잡성, 지각된 혁신기대, 지각된 사회적 평가 위험, 지각된 개인정보 노출 위험, 메타버스 관련 기사, 홍보 콘텐츠는 메타버스 이용 거부에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각 독립변인들과 두 종속변인(보류, 거부)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개별 변인들의 유의미성과 상대적인 영향력뿐만 아니라 방향성에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디어 산업 내 메타버스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metaverse is gaining attention as a key industry for the future. However, despite this interest, users have reported negative responses, indicating hesitancy towards the platfor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his hesitancy. Using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as a framework, this study analyzes variable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suitability, complexity, innovation expectation, and perceived risk, alongside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and novelty-seeking tendency, as well as diffusion mechanisms such as metaverse-related articles and promotional content. A nationwide survey of people wh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but are not active users showed that perceived suitability, complexity, innovation expect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ris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etaverse use.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two dependent variables (postponement and rejection), the study found differences in direction, significance, and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This research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metaverse in the media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