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군 복지정책 지지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의무복무 제대군인을 위한 복지정책인 취업지원, 복지지원, 학업지원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도를 분석하였다. 횡단면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사회 기여도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제대 후 사회 적응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할수록 의무복무 제대군인 복지정책의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적 이해관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의무복무 제대군인 복지정책에 물질적 이해관계가 높은 만 40세 미만 남성은 그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반면, 물질적 이해관계가 낮은 만 40세 미만 여성의 지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책인지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당 복지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이해가 높을수록 정책지지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의무복무 제대군인 복지정책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support for military welfare policies for enlisted service veteran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cross-sectional data of 1,500 samples. The author analyzed public support for three representative military welfare policies, namely the employment support policy, welfare support policy, and academic support poli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contributions of enlisted service veterans to society and the difficulties they would face after their dischar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pport for these policies. Regarding the effect of material self-interest, men under the age of 40 with high material self-interest in the policies showed higher support, whereas women under the age of 40 showed lower support.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policy awareness indicated that highe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military welfare policies resulted in higher policy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 suggests constructive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military welfare policies for enlisted service veter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