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 청소년은 ‘Born digital’ 세대라 불릴 정도로 온라인 공간에서 자신의 모습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다. 이는 자아실현이라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때론 온라인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현실과 연결시키지 못하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일탈적인 자아를 드러내기도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점차 확대되는 온라인 비대면 환경 속에서 청소년 사이버활동 및 비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형성되는 사이버자아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공간에서 정체성의 혼란으로 형성되는 자아인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청소년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기존 사이버비행 설명 요인(인터넷 중독, 또래애착, 부모애착, 학대, 자기통제, 분노, 스트레스, 우울)과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지니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 2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정적 사이버자아는 기존 사이버비행 설명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이버비행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사이버자아는 부모애착과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높은 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애착이 증가할수록 사이버비행이 크게 감소하였지만,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낮은 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애착이 증가해도 사이버비행에 큰 변화가 없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사이버비행 및 온라인 정체성 교육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Nowadays, the youth are very familiar with expressing their activities and emotions online. This helps the youth fulfill their dreams, but sometimes causes diverse negative consequences including cyber delinquency.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youth’s activities have increased and expanded onl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digital self on cyber delinquency to better understand the future aspects of juvenile delinquency.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gative digital self on cyber delinqu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 crime related factors and cyber delinquency. Using survey data of 298 adolescents,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digital self significantly increased cyber delinquency,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In addition, negative digital self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yber delinquency.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