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22년 6월까지 이루어진 상담 수퍼비전 윤리에 관한 국내⋅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수퍼비전윤리 연구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국내 상담 수퍼비전 윤리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국내 학술 논문 DB와 해외 학술 DB인 EBSCOhost 학술검색 시스템의 자료검색을 통해 국내⋅외 상담 수퍼비전윤리 연구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 대상으로 44편을 선정하였다. 분석기준은 논문의 기초사항, 연구주제, 수퍼비전 윤리주제 구체적인 내용,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발행연도별 논문 수는 국외의 경우 1980년을 시작으로 총 36편, 국내의 경우 2012년 발표를 시작으로 총 8편이 연구되었다. 연구대상별 동향은 국내⋅외 모두 수퍼바이지 대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주제별 동향은 국내의 경우수퍼비전 윤리 과정연구, 수퍼비전 윤리 과정-성과연구, 수퍼비전 윤리 개관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국외는 수퍼비전 윤리 개관연구, 수퍼비전 윤리 과정연구, 수퍼비전 윤리 과정-성과연구, 수퍼비전 제도 연구 순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수퍼비전 윤리 주제의구체적인 내용은, 국내의 경우 수퍼바이저 윤리 행동이행, 수퍼비전 과정, 수퍼비전 윤리 일반, 수퍼비전 윤리 요소 순으로 드러났으며, 국외는 수퍼바이저 역량, 수퍼비전 관계, 수퍼비전 윤리 일반 순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국내⋅외 모두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결론 본 연구는 향후 국내 상담 수퍼비전 윤리 연구를 국외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수퍼비전 관계의 독특성 인식과 한국 문화의 특성을 반영한 윤리적 쟁점을 다루는 수퍼비전 윤리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수퍼비전 윤리 연구는 향후 특정 주제 위주의 연구보다 수퍼비전 관계, 수퍼비전 과정, 수퍼바이저의 역량에서 수퍼비전 윤리의 중요성과 실천적 관점을 다루는 연구가 더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of counseling supervision ethics studies by analyzing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counseling supervision ethics in Korea from 1980 to June 2022. Methods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44 research papers from the Korean studies database and international studies database EBSCOhost. Research tre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including five types(basic facts about research, research topics, the specific contents of supervision ethics topic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 Results First, Supervisee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in both studies. Second, research trends in research topics were in the order of supervision ethics process research, supervision ethics process-performance research, and supervision ethics review research in Korea. In international studies, it was in the order of supervision ethics review research, supervision ethics process research, supervision ethics process-performance research, and supervision policy research. Third, research trends in the specific content of research studies were in the order of supervisor ethics practices, supervision process, supervision ethics general, and supervision ethics elements in Korea. In international studies, it was in the order of supervisor competence, supervision relationship, and supervision ethics in general. Fourth,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study method in both studi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future Korean counseling supervision ethics research needs to deal with ethical issu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nd recognition of the uniqueness of supervision relationships compared to foreign studies. In addition, domestic supervision ethic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research on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perspective of supervision ethics related to supervision relationships, supervision process, and supervisor competencies is more necessary than research focusing on specific top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