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아이의 언어 습득 과정을 언어 기능이 성장해 가는 과정임을 전제하면서, 어린아이가 관계절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도출되는 어린아이 문법의 관계절의 특징과 내부 통사 자질을 최소주의 문법론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Chomsky(1995, 2008)의 최소주의 문법론과 Chomsky(1981), Hyams(1986, 2011), 그리고 Rizzi(1990)의 매개변인 가설(Theory of Parameter)을 활용하여 어린아이 언어자료를 분석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어린아이의 wh-의문문 습득에서 나타나는 장거리 wh-이동(long distance wh-movement)과 관계절의 wh-이동에서 that-흔적 효과(that-trace effect)가 어떻게 다르게 적용되는지 검토한다. 그리고 어린아이가 생산하는 관계절에 사용하는 관계사는 보문소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가정하여, 어린아이 관계절에서 전치사 동반 이동(pied-piping)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특징을 어린아이 자료를 분석하여 증명하고자 한다. 또한, 어린아이 관계절의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 사용은 어린아이는 성인과 같은 관계절 문법을 가지고 있으나 목표언어의 매개변인 값을 제대로 설정하는 언어 성장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최소주의 문법론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arly languag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s and the internal syntactic properties of native English -speaking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Minimalist Program.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based on Minimalist Program (Chomsky 1995, 2008) and Theory of Parameter (Chomsky 1981, Hyams 1986, 2011, Rizzi 1990). Early relative clauses differ from the adult grammar, in two respects: first, pied-piping in relative clauses is absent. Children produce relatives with preposition stranding, an option available in their target language. Radford (2004) suggested that relative that in child relative clauses is a relative clause complementizer rather than a relative pronoun. The second feature of early relative clauses is the use of resumptive pronouns. English-speaking children accepted resumptive pronouns at a significantly higher rate than adults in all contexts for which gaps were grammatical (McKee and McDaniel 2001).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relative clauses in child language reflect the process of developing language facu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