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의 상호 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 제3의 요인인 연결 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 사이의 상호 관계를 직·간접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의 방법을 채택하여 리터러시의 인접 개념과 주관적 웰빙의 인접 개념 간의 관계 밝힌 논문 4편, 리터러시와 연결 요인의 관계를 밝힌 논문 16편, 및 주관적 웰빙과 연결 요인의 관계를 밝힌 논문110편을 선별하였다. 특히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결 요인을 인지적, 정의적, 사회맥락적 요인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의 인접 개념 간의 관계를 밝힌 논문을 통해 리터러시 능력이 낮을수록 주관적 웰빙이 낮을 수 있음을 확인하여두 요인 간 정적 상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결 요인을 통해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 사이의 간접적인 관계를 추론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을 연결하는 연결 요인으로는 사회맥락적 요인이 가장 많았으며, 정의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 간의 연결 요인에는 학업성취, 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한 태도, 정체감, 인터넷/미디어 사용, 경제적 여건, 사회적 참여가 있었다. 연결 요인으로 기능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요인들이 다수 있었으나, 국외 논문 등을 통해 해당 영역이 논리적 공백이 아니라 연결 요인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으나 아직 탐구되지 않은 지점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 간의 인접 개념과 두 개념이 구체적으로 작동하는 연결 요인을 밝힘으로써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 간의 상호관계를 논의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앞으로 두 개념 간의 관계를 더욱심층적으로 살피는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research literatures and infer ab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WB), which has not been explicitly revealed in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With this study goal, a heuristic of systemic review was constructed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collected research articles in order to derive both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literacy and SWB. Amo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e selected (1) four papers that examin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literacy and the adjacent concepts of SWB, (2) 16 papers tha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the connective factors (e.g., communication, identity, scholastic achievement), and finally (3) 110 papers tha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WB and the common connective factors. In particular, the reviewed articles in the third group have informed our inferences about literacy-SWB associations, as those research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and analyzed a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ontextual dimension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a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jacent concepts of literacy and SWB, it was reported about general tendencies that the lower the literacy ability, the lower the SWB; thereby indicating a possibl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In addition,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SWB was inferred through the third category of connective factors, which is social and contextual. Social and contextual factors were most investigated in both literacy and SWB research, as compared with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including those such as identities, media use, economic condi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was not clear-cut as revealed in the current systematic review of Korean research literature, but we note that some international studies become increasingly focused on the literacy-SWB relationship, which is likely to exist (In other words, the research gap in Korean literature may simply represent a lack of academic and scientific research while literacy-SWB seems to be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that captures attention from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education). This study signifies the close relationship of literacy and SWB and the connective factors between the two concepts, particularly in the social and contextual dimension.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baseline understanding for the follow-up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f which the goals are to examine literacy-SWB associations in educational settings and thus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new knowledge about learning and learners to the problem-solving of educational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