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MZ세대 공무원들은 폐쇄적・경직적인 보상체계와 조직 문화를 지닌 공공조직에 대한 저항 행동으로 조기퇴직과 조용한 퇴직을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대 간 서로 다른 조직공정성 인식이 반응행동(EVLN)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코로나19 전후시기 MZ세대 공무원의 공정성 인식변화 및 기성세대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더하여, 시기별로 분배적, 절차적,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의 변화가 항의, 충성심, 태만, 이탈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15년과 2021년 「공직생활실태조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MZ세대는 기성세대보다 분배적 공정성을 낮게 인식하였고, 코로나19 이후 인식 수준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공정성 인식이 네 가지 행동유형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모든 세대의 긍정적 행태를 유도하고 부정적 반응행동을 줄이기 위해 세 차원의 공정성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MZ세대 공무원은 팬데믹 시기를 지나며 분배적 공정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에서 성과보상 및 관리체계의 제도적인 개선은 물론 성과보상에 대한 상호작용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In order to find the reasons for great resignation among MZ generation public employees,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on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EVLN response behavior before and after COVID-19.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2015 and 2021 ‘Public Employees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MZ generation had lower levels of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than old generation in the public sector. Furthermore, their perception on distributive justice changed lower after COVID-19. With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mpirical analyses of this research found three typ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i.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our types of reactive organizational behaviors(i.e., exit, voice, loyalty, neglect), personnel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public employee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justice should be introduced. Especial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urrent performance-based incentive system of the public sector as MZ generation public employees had responded sensitively to distributive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