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관을 중심으로 침략적 속성이 조명되었던 식민주의 역사학은 일본의 대륙침략만이 아니라 근대 역사학의 성립·확산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동시적으로 규정된다. 특히 1930년대, 제국 일본이 조선에 설치한 근대 역사학의 전개에 필요한 학술기구들(경성제국대학, 공문서관으로서 조선사편수회, 청구학회 등의 학회)은 그 성과물들을 본격적으로 제출했다. 대륙침략만이 아니라 이러한 것들 역시 식민주의 역사학의 변화를 추동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주의 역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지닌 침략성과 근대 역사학으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1938년 평안북도청에서 이나바 이와키치에게 의뢰하여 편찬한 『평안북도사』는 제국 일본의 대륙침략, 식민주의 역사학의 주요 담론 중 하나인 만선사, 근대 역사학과 그 유지·확산에 필요한 학술기구 등이 교차하는 책자이다. 『평안북도사』를 검토한 결과 이 책자는 평안북도의 역사를 대륙과의 관계 속에서 정리한 역사서였으며, 이러한 역사상은 식민지기 중앙의 역사편찬사업인 『조선사』에 의해 사료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역사 서술이 근대 역사학으로서 속성을 더해갈수록 평안북도는 대륙을 고려하지 않으면 그 의미가 퇴색하는 지방의 역사로 전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북방의 역사가 대륙사의 일부가 된다는 것은 한국사의 왜소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whose invasiveness have been highlighted, is simultaneously defined in two factors: One is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The other is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modern historiography of Japan. In particular, academic organizations which was established by Japan in Joseon such like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Society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朝鮮史編修會) and Cheonggu Association(靑丘學會), submitted their achievements in the 1930s. These, as well as continental invasions, were driving changes in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s invasiveness and character as modern historiography at the same time.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平安北道史』) commissioned and compiled by the North Pyongan Province Office(平安北道廳) to Inaba Iwakichi(稻葉岩吉) in 1938, is a booklet that intersects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History of Manchuria-Joseon(滿鮮史) which is one of the main discourses of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and academic institutions which is necessary for maintenance and spread of modern historiography.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 was a history book that summarized the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 in relation to the continent, and this historical story was supported by Joseon History compilated by Society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 in historical materials. In this sense, it can be seen that as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fortifies its attributes as modern historiography, North Pyongan Province has degenerated into a local history that fade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i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