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농인의 직업 선택에 영향을 끼친 개인적 요인과 이러한 사례 연구가 농아동 및 농청소년을 양육하고 지도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직업 선택 요인이 다양한 농인 4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농인의 직업 선택의 개인적 요인에서 성격과 적성, 농정체성은 직업 선택에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청각장애로 인해 부정적인 경험을 여러 번 겪음으로 인해 소심한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어를 배우고 농사회에 참여함으로써 긍정적인 성격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성격과 본인의 적성, 그리고 농정체성으로 인해 생긴 긍정적인 태도 및 도전 정신 등은 직업을 선택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농인이 직업 선택을 하는 데 있어서 어느 한 가지 요인에 치우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각 요인의 영향을 받아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농인이 직업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모든 요인을 고려해 봤을 때, 우선적으로 건강한 농정체성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결론] 주 양육자인 부모가 농인 자녀와 의사소통 양식을 통일하여 정서적인 교감과 지지가 필수적임을 알았다. 연구 참여자 모두 학교생활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한 사례가 있기에 농학생들이 학교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 서비스 및 환경 구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ersonal factors of the deaf that influence the selection of occupation and what implications can be given by this case study in fostering and guiding dea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deaf people with various occupation selection factors. [Results] The personal factors affecting job choice by Deaf people included personality, talent, and Deaf identity.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formed timid personalities as a result of experiencing frequent unpleasant incidents due to their hearing impairment. However, their attitudes became more positive when they learned sign language and participated in their communities. Their new confidence, talent, positive attitudes, and courage based on their Deaf identiti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choice of employment. This study’s results showed that Deaf people’s choice of job depends on diverse, organically related factors rather than on a single dominant facto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rocess of choosing a job by Deaf people, it is important that they have opportunities to cultivate healthy Deaf identities. [Conclusion] Emotional interaction and support from the primary caregivers of Deaf children are essential, as is standardizing the communication format with Deaf children. The finding that every research participant had unpleasant experiences at school indicates that appropriate education services and school environments are critical to ensure that Deaf students have a pleasant school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