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한 후,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t-검증, one-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 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은 인지적·환경적·의지적 측면에서 근무 기관 유형, 나이, 경력, 학력, 결혼 여부, 담당 유아 연령 등의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0대의 3년 미만 경력을 가지고 학력이 높은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은 나이와 경력, 학력 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s basic research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carried out preliminary survey for 10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Jeollanamdo, and then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were 419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gnitive, environmental, and intentional aspects of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type of their institution, marital status, and age of young children in charge. Sinc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twenties with career length of three years or less was relatively high,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differently organized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effective data in develop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