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olice officers’ voluntary turnover has been a growing concern among police organiza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South Korean police officers by tes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turnover process model proposed by Brough & Frame (2004) and Allisey et al. (2014). Result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proposed turnover process mediation model, indicating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s of job-related attitudes (i.e.,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link betwee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i.e., job autonomy, workplace relationships, managerial support, and peer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s. To improve officers' retention rates in police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efforts must be made to increase officers' attachment to their organizations, enhance job satisfaction, and reduce stress levels altogether by providing career development, stress intervention, peer-support, and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본 연구는 Brough & Frame (2004)과 Allisey et al. (2014)이 제안한 이직과정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한국 경찰공무원의 이직의도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연구는 기존의 이직과정모형에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포함시켜 연구모형의 설명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관련 태도들(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이 경찰공무원의 사회·심리적 직무조건들(직무자율성, 직장인간관계, 상사지원, 동료지원)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Brough & Frame (2004)과 Allisey et al. (2014)의 이직과정모형을 한국 경찰공무원의 이직의도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경찰공무원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경찰공무원들의 조직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경력개발 프로그램, 스트레스 조절 프로그램, 동료지원 프로그램,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