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베트남어 한국어 학습자의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발음 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자음군별 오류율은 'ㄾ'(65.9%), 'ㄿ'(65.5%), 'ㄼ'(64.9%), 'ㄺ'(54.0%), 'ㄺ'(54.0%), 'ㄻ ' (47.7%), 'ㄳ' (42.2%), 'ㄵ' (24.6%), 'ㅄ' (5.6%); 'ㄹ'자음을 포함한 자음군에서 발음 오류가 많았다. 음절말 자음군에 후행하는 요소가 모음일 때보다 자음일 때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였고, 오류 양상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후행 요소가 자음일 때의 발음 오류율은 2급과 3급에서 차이가 없었고, 4급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휘 난이도는 초급 어휘의 발음 오류율이 중급 어휘의 발음 오류율보다 낮았다. 선택된 자음의 위치에 따른 발음 오류율은 첫 번째 자음 선택 어휘가 두 번째 자음 선택 어휘보다 낮았다. 2급에서는 두 번째 자음의 발음 오류 유형이 많았으나, 3급에서는 발음 오류가 있어더라도 첫 번째 자음을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후행하는 요소가 모음일 때의 발음 오류율은 문법 범주나 어휘 난이도와 상관없이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택한 자음의 위치에 따라 두 번째 자음을 선택한 어휘의 발음 오류율이 높았다. 2급의 경우 모음이 후행할 때도 자음을 생략하는 오류를 보였고, 3급에서는 두 자음을 모두 발음하지 못하는 오류를 보였다. 4급에서는 선행 자음의 조음 성공률이 높아지면서 발음 오류율도 낮아졌다.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by examin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pronunciation errors in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s. The error rate by consonant-cluster was ‘ㄾ’ (65.9%), ‘ㄿ’ (65.5%), ‘ㄼ’ (64.9%), ‘ㄺ’ (54.0%), ‘ㄻ’ (47.7%), ‘ㄳ’ (42.2%), ‘ㄵ’ (24.6%), ‘ㅄ’ (5.6%); there were many pronunciation errors in the consonant cluster including ‘ㄹ’. More errors occurred when a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 preceded a consonant than a vowe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rror patterns. Pronunciation error rates when the trailing element was a consonant did not differ between levels 2 and 3,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only in level 4. By grammatical category, the pronunciation error rates of nominal was lower than that of verbal, and in terms of vocabulary difficulty, beginner-level vocabulary was lower than intermediate-level vocabulary. Vocabularies for selecting the first consonant were lower than the vocabularies for selecting the second consonant by loca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In level 2, there were many error types in the pronunciation of the second consonant, but in level 3, there was more attempt to pronounce the first consonant even with a pronunciation error. Pronunciation error rates involving trailing vowe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levels, regardless of grammatical category or vocabulary difficul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was high for the vocabulary that selected the second consonant. Level 2 showed an error of omitting a consonant even when accompanied by a trailing vowel, while level 3 showed failed attempts to pronounce both consonants. In level 4, as the success rate for articulation of the preceding consonant increased,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