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loyers’ recognition and demand for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search method used FGI procedures and methods for employers who have businesses that employ people with ASD.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basic position on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SD, as well as operational contents, methods, evaluations, and conditions. First, the basic position of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SD was positive based on the quality of life in adulthood, and the continuous cycle of lifelong education and employment. 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ents of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SD were presented with job skills training, basic self-reliance and job culture adaptation-oriented job basic training. And the method of operating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SD was suggested as dialogue technique, daily life-based communication-oriented job training, and additional lifelong education led by the state department based on linkage package. The operation evaluation of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SD was suggested to establish an NCS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paths by individual and joint businesses. Finally,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those with ASD are emphasiz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provide consulting services for supported employment and customized employment for those with ASD, thereby helping employers to perform their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SD can be implemented by the procedures of the employer intervention model that oversees the business. In the future, this study expects a follow-up study in which a model and a plan for job training-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SD by employer intervention are directly developed.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에 관한 고용주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사업체의 직원으로 채용한 경험이 있는 고용주를 대상으로 FGI의 절차가 사용되었다. 연구 내용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에 대한 고용주들의 기본적인 입장을 비롯해 운영 내용, 방법, 평가, 조건이 제시되었다. 먼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에 대한 고용주들의 기본적인 입장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 대한 질을 비롯하여 평생교육과 고용 간 순환을 충족해 주는 이점을 근거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고용주들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의 운영 내용으로 직무기술훈련, 기초자립 및 직장문화 적응 중심의 직업기초훈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의 운영 방법으로는 대화기법 및 일상생활 기반 의사소통 중심의 직업훈련, 연계 패키지 기반의 국가 부처 주도의 추가 교육이 제시되었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의 운영 평가는 개인 및 공동 사업체 단위별 경력개발경로와 관련된 NCS 평가체계 구축이 고용주들로부터 제안되었다. 마지막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의 운영 조건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지원 고용과 맞춤 고용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여 고용주들의 수행역량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방안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이 사업체를 감독하는 고용주의 개입과 수행역량에 의해 실제로 이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고용주 개입에 기반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모델과 방안이 보다 다양하게 개발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