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성철에 의해 촉발된 돈점논쟁에서 해오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이이루어졌지만, 해오와 증오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의문은 제기되지 않았다. 선불교의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해오와 증오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이해와 분별(해오) 안에서 깨달음을 실현하려는 지향성을 갖는다. 해오/증오를 분별의 여부나 시간적 선후관계로 접근하는 대신, 깨달음의 체험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마음 변화의 두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증오는 구경에 도달하는 순간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반대로 ‘이미 완전하게 갖추어진 지각능력’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전제이자 출발점이다. 증오가 즉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면 그것이이미 우리 안에 완결된 상태로 갖추어졌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 증오는 갖춤의완전성이라는 측면에서 시작이기도 하고, 해애(解碍)의 종식이라는 측면에서는 구경이라고 할 수 있어서 양가적이다. 증오는 해오의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체험이며둘은 완전하게 별개는 아니다. 증오는 먼 미래의 최종목표가 아니라 해오의 해체적과정이며, 해오를 범주화하지 않게 하는 메타포다. 해오는 이해에 의한 깨달음이 아니라 마음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지시한다. 의미체계 안에서 인식 전환의 체험이 해오의 함의다. 그러나 해오는 단지 특정한 의미에대한 언어적 깨달음”이 아니라 “어떠한 언어적 이해도 절대적이지 않다”는 메타적이해를 포함하는 깨달음이다. 한편 증오는 마음 변화의 해체적 측면을 지시한다. 이미 구성된 마음을 실재라고 여기지 않고 해체하는 순간이 증오이며 이 계기는 영원한 미래로 연기되지 않고 모든 현재의 순간에서 실현된다. 해오와 증오는 마음의 전환 과정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두 가지 측면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In the Sudden/Gradual Dispute triggered by Seongcheol (性徹), various discussions were held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intellectual enlightenment (解悟), but the question of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ultimate enlightenment (證悟) was not raised. However, in the Sŏn/Zen tradition, enlightenment is not different from understanding—each is realized within the other.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ultimate enlightenment can be viewed as two aspects of mental change that occur simultaneously in the experience of enlightenment, instead of having a sequential relationship. Ultimate enlightenment is understood as the moment of reaching perfection, but on the contrary, it is the premise and starting point of enlightenment in that it is a “perceptual ability that has already been completely achieved.” If ultimate enlightenment can happen instantly, that is possible because it is already fully accomplished within us. In this case, ultimate enlightenment has ambivalent implications in terms of beginning and ending. Ultimate enlightenment is an experience that takes place within the world of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the two are not entirely separate. Ultimate enlightenment is not an end goal in the distant future, but a metaphor that keeps intellectual enlightenment from being categorized at all times. Intellectual enlightenment refers to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mind, not enlightenment through understanding. However, intellectual enlightenment is not just a linguistic understanding of a specific meaning, but an enlightenment thatincludes a meta-understanding that “no linguistic understanding is absolute.” Ultimate enlightenment, in contrast, refers to the deconstructive aspect of mind change. Ultimate enlightenment is the moment when the mind that has already been formed is dismantled without considering it real. It is not postponed into the eternal future, but is realized in every present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