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현황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문헌분석으로 ‘지역단위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결과 자료집’을 토대로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해 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경험과연계 이유, 연계 시 문제점과 연계 지속 이유,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활동에 교사와 학생, 민간기관 관계자가 가장 많은 참여를 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인성함양 활동, 마을역량 강화 활동, 인성교육 관련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네트워크 구축 활동, 학교나 교사의 역량 강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학교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인성교육 진행 시 겪는 어려움으로 학교와 지역기관간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음, 학교와 기관간 협력을 위한 시간이나 행정 절차의 차이가 있음, 학교장이나 기관장, 연계 당사자들의 지역 연계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 미흡, 지자체와 지역주민 등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과 문화 부재 등이 보고되었다.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연계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관간 연계에 따르는 행정 처리의 단순화, 학교와 기관 간 다리 역할을 하는 기구 마련, 학교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지역 자원 발굴 및 연계활동에 대한 학교의 지원 확대 등의 개선점이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search for ways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literature analysis focu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haracter education network based on the “Collection of Results of Operation of Regional Unit Character Education Network”, and FGI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listen to their experiences, reasons for linking with local communities, problems encountered during linkage, reasons for continued linkage, and opinions on ways to activate regional lin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students, and private sector stakeholders had the most participation in regional linkage activities in character education. The main activities included student character improvement activities, village competency enhancement activities, discovery and network building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nd school and teacher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clude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institutions, differences in time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f school principals, institutional directors, and stakeholders in local cooperation, and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a lack of systems and culture. To minimize difficulties in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establish an organization that plays a bridge role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nd expand schools’ support for the teachers who try to discover community resouces and link them to charact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