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석사 창건 설화에 얽힌 용 설화의 의미, 풍수지리설로 영향을 받은 전각 터의 의미, 화엄과 정토사상의 의미로 구성된 무량수전의 배치를 통해 통일신라의 사회적 이념체계의 가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용신사상의 사실적 차원, 풍수지리사상의 사회적 차원, 정토사상의 시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창건설화를 해체하여 부석사에 내재한 무량수전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며 사회적 이념으로 구성된 내용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세 가지 이념체계는 사회적 환경으로 구성되어 무량수전의 배치에서 다음과 같은 가치를 지닌다. 첫째, 부석사 창건에 나타난 선묘용 설화는 용신신앙에 불교가 들어와 자리를 잡으면서 습합되었다. 선묘용은 민간신앙의 용이 승천 조건과 불교의 공덕으로 융합되어 불교 설화로 인식된다. 이러한 사실적 차원은 민간설화에서 불교설화로 전이, 이동된 이념적 체계의 가치를 가진다. 둘째,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하는 부석사 무량수전은 명당에 안착되어 있다. 무량수전은 자생적 풍수지리사상과 불교풍수가 결합된 배치를 이루고 있다. 이는 고대에 사찰의 터를 선정하는 방법과 불 교리가 자리를 잡으면서 그 시대 사회와 소통을 이루는 이념적 체계의 가치를 가진다. 셋째, 부석사 무량수전은 극락의 불국토를 배경으로 하여 이상적 가람을 상징한다. 현실 세계의 무량수전은 극락정토의 이상향을 지향하는 화엄종과 풍수지리사상의 혈처가 결합된 자리이다. 이러한 현재는 미래의 극락을 지향하고 과거의 전통신앙을 기억하는 시간의 이념적 체계의 가치를 가진다. 따라서 용신사상의 사실적 차원, 풍수지리사상의 사회적 차원, 정토사상의 시간적 차원이 가지는 의미는 상징화된 무량수전에 구성된 이념적 체계이다. 부석사의 위치와 무량수전의 배치는 창건설화와 관련된 용신신앙, 불교신앙에서 용의 의미, 자생적 풍수지리사상, 불교풍수, 장엄한 극락정토의 이상, 민간신앙 등이 구현되어 있다. 이는 통일신라 문무왕조 시대가 요구하는 사회적 이념을 드러내고, 이들이 체계를 이루고 무량수전에 구성되어 나타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value of the social ideological system of Unified Silla through the meaning of the Dragon tale related to the founding of Buseoksa Temple, the meaning of the temple site influenced by feng shui theory, and through the constructional arrangement of Muryangsujeon Hall, which connots the Hwaeom ideology and the Jeongto ideology. The research aim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uryangsujeon Hall inherented in Buseoksa Temple by analyzing its founding story focusing on the realistic perspective about the Dragon Deity ideology, the social perspective of Geographical Fengshui ideology, the temporal changes of Pure Land ideology, and to systemize the social ideologies set on the Muryangujeon Hall. The three ideological systems are consisted of their social environments and have the following values in the deployment of Muryangsujeon Hall. First, the tale of Dragon Seonmyo in the founding of Buseoksa Temple, was incorporated with Buddhism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he Dragon Seonmyo story is recognized as a Buddhist tale because the dragon of folk belief is fused with the condition of ascension and the merit theory in Buddhism. This realistic perspective presents the ideological system that has shifted from folk tales to Buddhist tales. Second, Muryangsujeon Hall is on an auspicious spot along with the beautiful scenary of Buseoksa Temple. Muryangsujeon Hall is a combination of authigenic feng shui theory and Pure Land faith of Buddhism, so it has the value of the ideological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the society of that era as the geographical intention of selecting the temple site and the Buddhist theory are established in the ancient times. Third, th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symbolizes the ideal temple with the background of the Buddha land in paradise. The spot of Muryangsujeon Hall shows a combination of Hwaeomjong ideology and the auspicious point of Geographical Feng Shui theory. This leads to a temporal ideologic system; present aims for the future paradise while remembering the traditional beliefs of the past.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realistic perspective of the dragon deity ideology, the social perspective of Geographical Fengshui ideology, and the temporal changes of Pure Land ideology is the ideological system symbolized as Muryangsujeon Hall. In the location of Buseoksa Temple and the arrangement of Muryangsujeon, the Dragon deity faith in its founding story, meaning of the dragon in the Buddhism, authigenic feng shui theory, fengshui in Buddhism, the ideal of majestic paradise, and the folk beliefs, reveal the social ideology required by the Munmu Dynasty in Unified Silla, and they are recognized in the Muryangsujeon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