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현장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구성주의 원격 학습환경 운영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를 알아보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2022년 6월 4주부터 7월 2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 경험이 있는 초중고 교사 284명의 연구대상을 모집하였다. 교사의 구성주의 원격 학습환경 운영기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그리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하여 교육요구가 높은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주의 원격 학습환경 운영기술의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와 실행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육요구도가 높은 항목에는 학생의 표현과 토론 격려, 행동 격려, 질문과 탐색 촉진, 고등사고 촉진, 문제해결 촉진, 배움 과정 중시가 포함되었다.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요구분석 결과에서 교사의 교직 경력, 구성주의 신념, 테크놀로지 지식, 학교급에 따른 집단별로 교육요구가 다르게 나타났다. 요구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 원격수업 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 과정에 학생의 능동성을 일깨우는 상호작용 촉진 기술, 고차원적 사고 기술의 발달을 돕는 학습 설계, 학습 과정에 중점을 둔 평가와 관련된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의 원격수업 역량 개발 연수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기술, 사고기능 발달을 지원하는 운영기술과 관련된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맞춤형 연수 제공 시 교사의 신념에 따른 분류 기준을 추가하고, 학교급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구분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교사의 원격수업 역량 함양을 위한 맞춤형 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ield teacher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needs of Constructivist Remote Learning Environment Management Skills (CRLEMS). To do so, the study made use of 284 responses from school teachers with remote learning experiences after COVID-19,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RLEMS. Also, using the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study derived the need for CRLEM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execution in CRLEMS, and the skills in highest demand for education were: students’ expression and discussion encouragement, promotion of higher thinking, promotion of problem-solving, focus on the learning process, and promotion of questions and exploration.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t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constructivist beliefs, technology knowledge, and school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kills to facilitate interaction and promote higher-order thinking and process-based assessment skills i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Finally, when providing customized training, it is proposed to add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teacher’s beliefs and to distinguish middle and high schools at the school lev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framework for a systematic curriculum of teachers’ remote teaching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