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정지용(鄭芝溶)의 두 번째 시집 『백록담(白鹿潭)』(1941)의 목차 구성에 주목하면서, 3부에 수록된 「춘설(春雪)」과 「소곡(小曲)」의 독자성에 대해 추적해보고자 하였다. 이 작품들은 1부에 수록된 소위 동양적 산수시편의 모습과 흡사해 보이지만 시집 목차를 통해 의도적으로 분절된 사실을 체감할 수 있었다. 그래서 두 작품의 발표 시기와 맞물리는 『해외서정시집(海外抒情詩集)』(1938)의 발간을 통해 정지용의 시 창작이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의 시 번역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밝혔고, 두 시인의 작품 간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적 흔적을 고찰하였다. 그 지점에서 파생된 낭만적 상상력이 정지용의 산수시 지향과 착종되어 나타난 것이 바로 「춘설」과 「소곡」이라는 낭만풍의 산수시였던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때 정지용의 창작에 나타나는 낭만성은 단순히 소재 차원에서의 차용도 아니고 기왕의 낭만주의 시의 답습도 아니었다. 그는 전적으로 미학적 차원에서 감상성을 경감시키는 방식을 취하면서 낭만적 시풍을 자기 방식대로 변용하여 새롭게 계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것이었다. 이러한 정지용의 태도는 그가 실제로 번역가로서 번역 작업을 수행하는 순간에도 이미 체화되어 있던 모습이기도 하였다. 또한 3부만의 독특성은 1부 시편들에 나타난 동양적 정신주의의 성격과 대별해볼 때 더욱 두드러진 낭만적 위상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춘설」과 「소곡」은 필연적으로 『백록담』 3부에 독립되어 수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며, 시집의 다른 장(章)들과 상호보완적인 기능으로서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of Jeong Ji-yong's second collection “Baengnokdam”(1941), and tried to trace the uniqueness of "Chunseol" and "Sogok" in Part 3. These poems look similar to the oriental “Mountain-Water poetry” in Part 1, but they were intentionally divided in the table of contents. Therefo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hology of oversee’s lyrical poems”(1938)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as "Chunseol" and "Sogok", it was revealed that Jeong Ji-yong's creativity was related to his translation work about William Blake's poetry. As the romantic imagination was mixed with Jeong Ji-yong's concept of “Mountain-Water poetry”, the romantic “Mountain-Water poetry” appeared such as "Chunseol" and "Sogok". However, the romantic trend that appears in Jeong Ji-yong's poems was not simply borrowed from materials, nor was it a follow-up to the previous romantic poetry. He changed the romantic trend in his own style by choosing an aesthetic way that entirely reduces sensibility. This attitude was already embodied even when he actually worked as a translator. Moreover, the uniqueness of Part 3 is given a more prominent romantic status when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spiritualism in Part 1. Thus, "Chunseol" and "Sogok" were inevitably included in Part 3 of "Baengnokdam" independently, and can be seen as complementary functions with other parts of the col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