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이 글은 최소주의 접근법에 따라 민주주의를 자유와 평등을 함께 보장하는 개인주의에 기반하는 이념으로 규정하고, 포퓰리즘을 인민과 엘리트의 적대 구도라는 사회관과 인민 의사의 가능한한 직접 반영이라는 정치관을 가진 이념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정치경제적 관점과 정치사회적 관점을 종합해 현실 민주주의와 포퓰리즘의 변화를 파악한 후, 서유럽을 중심으로 신포퓰리즘과 포스트포퓰리즘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신포퓰리즘의 일부를 제외하면 2000년대 이후의 포퓰리즘은 더 이상 민주주의의 위협 요소만이 아니라 대의제 범주 안에 존재하는 민주주의의 한 유형으로 작동한다. 신자유민주주의의 한 유형으로서 신포퓰리즘이 배제적 집단주의를 통해 인민을 단일한 빈 기표로 남겨둠으로써 새로운 개인주의 시대에 대응한다면, 다원적 민주주의의 한 유형인 포스트포퓰리즘은 인민이라는 빈 기표를 다양한 소수자를 포함하는 연대로 채워나감으로써 새로운 개인주의 시대에 대응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ism and democracy, this paper defines democracy and populism according to minimalist approach. Democracy is defined as the idea based on individualism that guarantees both freedom and equality, and populism as the idea that sees society 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elite and that the politics should reflect people’s opinions as directly as possible. After synthesizing the politico-economic viewpoints and the politico-social viewpoint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real democracy and populism, it analyzes the effects of neo-populism and post-populism on democracy. With the exception of a part of neo-populism, the populism after the 2000s is no longer only a threat to democracy, but operates as a type of democracy that exists within the scope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As a type of neo-liberal democracy, neo-populism responds to the era of new individualism by leaving the people as a single empty signifier through exclusionary collectivism. On the other hand, as a type of pluralistic democracy, post-populism responds to the era of new individualism by filling the empty signifier (the people) with the solidarity inclusive of the various minor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