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제20대 국회기 부터 현재까지 국회입법과정에서 개별 국회의원들의 ‘숙의’를 몰각시키기 위한 새로운 창조적 유형의 수단들이 등장했다. 회기를 쪼개고 위장탈당을 감행하며 패스트트랙에 태운 법률안을 본회의에 상정한 후 원안을 폐기하고 다수당 당론을 수정안으로 채택하면 된다. 그들은 그것이 민주주의라 웅변한다. 다수당의 당론이 ‘국회 본회의 통과’라는 이름으로 공익을 참칭하고 있다. 국회 다수당이 자신의 뜻대로 법률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법률안에 대한 개별 국회의원들의 선호가 형성되거나 변경될 시간을 주지 않고 곧바로 본회의에서 다수결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회의를 통과한 법률안에는 숙의를 통해 발견되거나 결정되는 국가이익이나 공공의 이익이 설 자리는 없다. ‘입법절차상 중대한 하자’도 그들에게 중요하지 않다. 그 법률안이 법률이 되어 전 국민에게 피해를 주더라도 헌법재판소의 사후적 결정이 있기 전까지는 책임이 없다. 비교법적으로 고찰해 봐도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 정당화 사유를 정한 헌법은 존재하지 않고 학자들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다. 그간 국내학계에서는 총 6개의 사유 즉, 법률안이 헌법에 위반되거나, 집행이 불가능하거나, 국익에 반하거나, 정부에 부당한 압력을 가하거나, 예산이나 재정적 문제가 있거나, 대통령의 정책에 반하는 법률안의 경우 대통령이 법률안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6개의 사유에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 정당화 사유에 국회의원의 숙의를 배제하거나 몰각시키는 ‘입법절차상 중대한 하자’를 정당화 사유로 추가하여 대통령이 법률안거부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할 수 있다면 위헌․위법한 법률의 시행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대통령은 국회 입법과정에서 ‘숙의’를 배제 혹은 몰각시키는 이른바 회기 쪼개기, 강제 사․보임를 통한 의장의 심사기일 지정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안건의 신속처리 지정과 이후 과도한 본회의 수정안의 남용, 위장탈당을 통한 여야동수 안건조정위원회 무력화 등 제20대 국회기부터 등장한 새로운 유형의 ‘입법절차상의 중대한 하자’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법률안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 이것만이 위헌, 위법한 행위로 국회를 통과한 법률안을 법률의 공포․시행 이전에 막을 수 있는 현행 헌법이 예정한 유일한 헌법적 장치이다. 대통령은 국회 입법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로 숙의를 몰각시키는 ‘입법절차상 중대한 하자’를 지닌 법률안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법률안거부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 variety of novel tactics have been devised by individual lawmakers to bypass deliberative cooperat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ese include session splitting, political opportunism(intentionally leaving a party merely to gain more votes), manipulation of a legislative Fast Track procedures (discarding initially ratified bills during plenary sessions and swiftly adopting amended versions formed by the ruling party) etc. Such Machiavellian practices are justified under the guise of promoting democracy, and these policy makers dare to call the electioneering tactics ‘for the sake of public interest’. The easiest way for the ruling party in the National Assembly to pass a bill is to hold an immediate majority vote at the plenary session without allowing individual lawmakers sufficient time to form or change their preferences. In this process, the legislative deliberation essential for identifying and determining national or public interests is overlooked, and significant defects in the legislative process are disregarded. The ruling party is not held responsible for any potential risks caused by the bill until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s a final ruling on the validity of the practices, even in the case when the law harms the entire nation. Even taking a comparative law approach, there is no constitutional ground that justifies the President's exercise of the right to veto laws; scholars' interpretations are relied upon instead. Academia in Korea have long believed that the President has the authority to veto bills based on six particular reasons: violations of the Constitution, impossibility of enforcement, actions contrary to national interests, unfair pressure on the government, budget or financial problems, and actions contrary to the President's policy. By allowing the justification of “significant defects in legislative procedures” as a reason for the President's right to veto legislation, the enforcement of unconstitutional and illegal law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this sense, the President should exercise the veto power, overriding new forms of aforementioned 'significant defects in legislative procedures’, such as specifying a deadline by the committee chair for the legislative deliberation of the enactment which can have the same legitimate effect as fast track, repetitive amendment of ratified bills proposed during plenary sessions, or changing the proportion of committee seats supposed to ensure a more balanced representation (by deliberately leaving a party only to win more vote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start of a new session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power of the veto is the only constitutional safeguard to prevent the laws passed illegitimately from taking effect before they are officially enacted through promulgation and enforcement. As a new form of malicious practice that circumvents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process, any attempt of ‘significant flaws in the legislative process’ should be subject to veto by the President, thereby preventing their passage without proper de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