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宣大将士是来自于明代九边重镇宣府、大同的著名边军, 他们同辽东军、延绥军、蓟镇军、川兵、南兵、京营兵等不同地域的明军将士, 一同东征抗倭援朝, 参与了包含平壤开城之战、碧蹄馆之战、稷山之战、两次蔚山之战、泗川战役等一系列战斗, 功勋卓著, 但以往对他们的研究却较为稀少, 其史迹亦隐没不彰。 本文利用正史、金石、谱牒、档案、方志、政书、文集、笔记等材料, 佐以田野调查, 对明军中的宣大将士进行了研究: 首先梳理了壬辰、丁酉两次入援的宣大北兵将领的概况, 并将目光放在以往学界关注不多的中下层明将, 选取三个代表性的个案--杨登山、牛伯英、柴登科, 考察其生平经历与参战过程, 将其历史形象修复出一个相对清晰的轮廓, 希望能为万历抗倭援朝战争(1592-1598)中下层军官的相关研究提供样本。 此外, 宣大边军多为中国北部边境的骑兵, 他们长于快速马战、弱于长期攻城的作战风格, 在朝鲜战场与日本侵略军作战时表现得淋漓尽致, 对此进行考察, 也有助于探索宣大军的历史真相, 并丰富明军在这场战争中的形象。


Xuanda soldiers are those from Xuanfu and Datong in the Jiubian of the Ming Dynasty. Together with the Ming soldiers from different regions such as Liaodong, Yansui, Jizhen, Sichuan, Southern, and Jingying Army, they fought eastward to resist Japanese pirates and aid Korea. They participated in a series of battles including the Battle of Pyongyang, the Battle of Kaeseong, Byeokjegwan battle, Jigsan battle, the first and second Battle of Ulsan, and Sacheon battle.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them is relatively obscure. This study utilizes official history, epigraphy, genealogy, archives, local chronicles, political books, anthology, notes and other materials, as well as field investigation, to investigate the officers and soldiers of Xuanda in the Ming army. First, we comb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northern generals of Xuanda who came to the aid of Imchen and Dingyou twice, and focus on the middle and lower Ming generals, who previously received less attention in academic circles. This study selects three representative cases, Yang Dengshan, Niu Boying, and Chai Dengke, to investigate their life experiences and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war.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restore a relatively clear outline of their historical images, hoping to provide samples for the relevant research of the middle and lower officers in the War of Japanese Aggression in Korea (1592-1598). In addition, most of the troops of the Xuanda Frontier Army were cavalry on the northern border of China, who were good at fast horse warfare and weak at long-term siege. These troops fought incisively and vividly on the Korean battlefield when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aggressor troops, which is also a side of enriching the historical truth of the Xuanda Army and progress in enriching the image of the Ming Army in this war.


선대장병(宣大將兵, 또는 선대변군(宣大邊軍))은 명대 구변중진(九邊重鎮) 중 선부(宣府), 대동(大同)지역의 변방군을 말한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중 선대장병은 요동군(遼東軍), 연수군(延綏軍), 계진군(薊鎮軍), 천병(川兵), 남병(南兵), 경영병(京營兵)등 다른 지역의 명군 장병들과 함께 조선을 돕고자 원군으로 파견되었다. 그들은 평양 개성 전투, 벽제관 전투, 직산 전투, 두 차례의 울산 전투, 사천 전투 등과 같은 일련의 전투에 참여하였고, 그 활약이 주목할 만하나 현재까지 선대장병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는 정사(正史), 금석(金石), 보첩(譜牒), 고문서(古文書), 지방지[方志], 정서(政書), 문집(文集), 필기(笔記) 등의 자료를 활용하고 현장답사를 통하여 임진왜란 중 조선에 원군으로 파견된 명군 중 선대장병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선을 돕고자 파병된 선대북병(宣大北兵)의 장령(將領, 장군)의 명단/내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그간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던 중하층 명장(明將)에 대하여 서술하였는데, 그 중 양등산(楊登山), 우백영(牛伯英), 시등과(柴登科) 3인을 선정하여 그들의 생애와 참전 과정을 고찰하였고, 그 역사적 모습을 비교적 뚜렷이 복원함으로써 임진왜란기 명의 중하층 장관에 관한 연구의 한 사례를 제공하였다. 선대군은 대부분 중국 북부 변경 지역의 기병으로 빠른 속도의 기마전에 강하나 장기적 공성(攻城) 전쟁에는 약한 편인데, 그들이 원군으로 활동하는 중 이러한 면이 확연히 드러난다. 이는 또한 선대군의 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게 하고 당시 명군의 형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Xuanda soldiers, the War of Japanese Aggression in Korea (1592-1598), middle and lower Ming generals, cavalry

선대 장병(宣大將兵), 선대변군(宣大邊軍), 임진왜란, 정유재란, 중하층 명장(明將), 기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