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싸나톨로지(죽음학) 관점에서 본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제언하기위한 것이다. 급속도로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 변화에서 노인인구의 수와 비율의 증가는 노인인구가맞게 될 삶의 마무리 즉 임종에 대한 대비가 시급함을 의미한다. 노인들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하는교육의 필요성이 점증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참여자들은 노년의 비탄과임종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은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가? 3)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은 비탄과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 연구를 위해 참여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죽음교육을 하기 전과 후를 관찰하고 심층인터뷰를시행하였다. 참여자는 78세 남자와 81세 여성 두 사람이었고 실험을 통해 두 사람의 사례를 분석하여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참여자 자신들의 삶에서 어떤 좋은 일과 힘든 일이 있었고 자신의삶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고 그에 대해 두 참여자가 죽음을 앞두고 불안하고 후회스럽고 비탄스럽다는 답변을 하였다. Hoy 모델로 대화식 교육을 하며 인지적 이해와 정서적 태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인지적 정서적 변화가 뚜렷하였고 이해나 태도가 주도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심층 인터뷰에서도 질문도 동일하게 “자신의 삶에서 어떤 좋은 일과 힘든 일이 있었는지 자신의 삶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질문하였다. 처음에는 자책과 후회를 하며 환경을 탓했으나 대화식 교육 후에는 자기 자신을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지난 일들을 후회 한 것만이 아니라 재구성하여 자신을 인정하는 답변을 하였고주어진 현실을 부정하고 절망스러워 하던 데에서 변하여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답변을 보였다. 연구 결과 대화식 죽음교육 후에 비탄의 감정들을 완화되고 새로운 관점으로 자신과환경을 보기 시작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년의 비탄과 절망감해소를 위해 이러한 대화식죽음교육이 필요하다는 것과 노인들의 심리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한 대화식 죽음교육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ath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grief and death in old 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dying). In our rapidly aging socie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means that the end of life that the elderly population will soon face, that is, the preparation for death, is urgently needed. The need for education to prepare the elderly for grief and death of the is increasing. A research problem was set. 1) How do participants perceive grief and death in old age? 2) What changes did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death education prepare for grief and death in old age experience in terms of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3) How do participants who received death education to prepare for grief and death? in old age perceive grief and death?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the participants, to observe them both before and after death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two people, a 78-year-old man and an 81-year-old woman, and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cases of the two people through the experiment. When asked what good things and hard things happened in their lives and what they thought of their lives, the two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were anxious, regretful, and lamented over some things before death. Through interactive education using the Hoy model, cognitive understanding and emotional attitude changes were observed.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were clear, whil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opic led to positive attitudinal changes.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 was the same: “What good and bad things happened in your life, how do you view your life?” The answer was to look at oneself positively and acknowledge oneself by reconstructing the past rather than regretting it. In addition, the subject changed from denying and despairing of about the given reality and gave an answer reflecting an attitude of acceptance of reality as it is. As a result of the study, after education, the feelings of grief were alleviated and the participants began to see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they let go of guilt and became more aware of themselves,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s changed to positive ones, and they began to show an attitude of accepting realit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uch interactive education is necessary to relieve the grief and despair of the elderly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upport system, as well as personal support,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ituation of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