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재난안전실무자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가 스트레스 요인-스트레스-스트레스 결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스트레스 과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본다. 이에 재난안전실무자를 현장중심 실무자와 행정・정책중심 실무자로 구분하고, 일련의 스트레스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집단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두 직무유형 집단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직무압박, 미디어노출,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등으로 가설과 모형을 구성하고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중심 집단의 경우 실무자들이 느끼는 직무압박이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행정・정책중심 집단의 경우 실무자들이 느끼는 직무압박이 조직몰입으로 바로 이어지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조직몰입을 강화하는 효과는 두 집단 중 현장중심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 중 현장중심 집단에서만 스트레스 요인의 효과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조직몰입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 집단 중 현장중심 집단에서만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지지가 스트레스 요인의 효과를 완충하기보다 오히려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중 가장 주목할 것은 본 연구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과 관련해 사회적지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This study believes that stress research should be approached as a series of stress processes(stressors-stress-stress outcomes). Therefore, the study divided disaster safety officials into field-oriented officials and administrative/policy-oriented officials, and sought to look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 series of stress process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ducing job stress and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greater in the field-oriented group among the two group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tressors l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tress only in the field-oriented group among the two group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ly in the field-oriented group among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