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공항 지상직 직원이 경험한 심리적 소진의 회복과정의 현상학적 연구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고 코로나-19로부터 심리적 소진의 회복을 경험한 13명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42개의 주요 개념, 10개 하위범주, 4개 상위범주가 나타나 공항 지상 직원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과정을 반영하는 이론적 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심리적 소진으로 인해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를 경험하였고, 심리적 소진에서 회복을 위한 개인적 노력으로 ‘나를 돌아보는 시간 갖기’, ‘성취 및 전문성 강화’, ‘정서적 지지 활용’의 과정을 거쳤다. 내적 성장 및 회복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른 긍정적 해석’, ‘일터에서 변화 생김’, ‘삶의 생기가 되살아남’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의 영향으로 심리적 소진이 발생하여 회복단계를 거쳤지만, 남아있는 소진의 가능성을 보여, 심리적 소진과 회복의 순환 과정임을 밝혀냈다. 하지만 회복과정에서 내부 변화와 자기관리 전략을 추구한다면 내적 성장 및 회복 단계로 접어들며 심리적 소진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최초로 코로나 상황-19에서 공항 지상직 직원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recovery process of psychological burnout experienced by airport ground staff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3 people who had worked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who had experienced recovery from psychological burnout from COVID-19. As a result, 42 major concepts, 10 subcategories, and four upper categories appeared, resulting in a theoretical model that reflected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recovery process of airport ground staff.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perienced emotional burnout, dehumanization, and lack of personal fulfillment due to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es termed taking time to look back on me, strengthening achievement and expertise, and using emotional support as personal efforts to recover from psychological burnout. In internal growth and recovery, results were labeled as positive interpretation over time, change in the workplace, and life's vitality is revived. In addition, psychological burnout occur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viation industry, which was directly hit by COVID-19 and went through the recovery stage, bu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remaining burnout, revealing that it was a cycle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recove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for the first time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recovery process of airport ground staff under the COVID-19 situation was studied phenomenolog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