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몽골 사람들의 기개와 정신을 담고 있는 몽골어 「게세르」 이야기는 몽골 최고의 구비문학작품이다. 몽골어 「게세르」 이야기는 구전되어 내려왔기 때문에 당시 몽골어의 특징을 가장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자료이다. 몽골어 「게세르」 이야기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러시아의 여행자 Pa. Pallas가 몽골어 「게세르」를 언급한 이래로 몽골어 「게세르」 연구의 역사는 약 200여년이 되어 간다. 이 200여년의 기간 동안 몽골어 「게세르」와 관련하여 언어, 역사, 문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다채롭고 풍성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북경본 게세르」와 「부랴트 게세르」 판본에 집중되어 있어, 다른 다양한 몽골어 「게세르」 판본들과 관련해서는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몽골어 「게세르」 판본들의 언어학관련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직시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융복사본 게세르」를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음운론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융복사본 게세르」를 음운론적으로 연구함으로써 18-19세기 몽골인들이 사용한 몽골어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필자는 우선 「융복사본 게세르」의 영인본을 새롭게 라틴전사하였고, 후에 음운론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융복사본 게세르」에는 모음동화(완전동화, 불완전동화)와 i-breaking 현상이나 모음탈락(이중모음 > 단모음) 등 다양한 음운 변화 과정이 내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전에 「북경본 게세르」 연구 결과와 상당수 일치하며, 이전에 밝혀진 근대 몽골어의 특징과도 많은 부분 일치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몽골어 「게세르」 판본을 연구하여 근대 몽골어 특징들을 더욱 명확히 할 것이다.


The Mongolian 「Geser」 story, which contains the spirit and great character of the Mongolian people, is Mongolia's best literary work. The story of the Mongolian 「Geser」 has been handed down by spoken language, so it is the most accurate material to tell the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at the time. Such research on Mongolian 「Geser」 is being conducted around the world. Since Pa. Pallas, a Russian traveler in the past mentioned the Mongolian 「Geser」, the history of Mongolian 「Geser」 research has been about 200 years. During these 200 years, various and abundant research results were published in diverse fields such as language, history, and literature with the Mongolian 「Geser」.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editions of 「Peking Geser」 and 「Buryat Geser」,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various Mongolian 「Geser」 editions.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to find studies related to the linguistics of Mongolian 「Geser」 editions. In this paper, we faced these problems and analyzed the 「Longfu Temple Geser」 phonologically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which has not been studied much in the past. By phonologically studying 「Longfu Temple Geser」 in this way, I would like to learn mo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golian language used by Mongolian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First, the writer transcribed it into Latin and later conducted a phonological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various phonological changes such as vowel assimilation(complete/incomplete assimilation), i-breaking or vowel elision (diphthong > monophthong) were inherent in 「Longfu Temple Gese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of 「Peking Geser」 and are also most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ly revealed modern Mongolian language. In the future, various Mongolian 「Geser」 editions will be studied to reveal modern Mongolian characteristics fur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