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20년대부터 40년대까지 조선인이 주요 인물로 나오는 중국 현대 단편소설을 텍스트로 하여 중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인이라는 주제로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일제에 저항하는 조선인으로, 이들은 소설 속에서 나라를 잃고 망명객으로 떠돌아다니며 항일운동을 하는 조선인 젊은이들이다. 둘째는 만주(국)에 사는 다양한 조선인이다. 우선 식민지이자 다민족 국가의 성격을 갖는 만주국에 사는 가난한 조선인으로, 생존을 위해 처절한 삶을 사는 조선인이다. 다음은 도시에서 일본을 등에 업고 중국인에게 범죄를 저지르고 횡포를 부리는 무뢰한 조선인이다. 마지막은 가난과 차별을 딛고 민족의 정체성과 약자들의 연대의식을 각성하는 조선인 소년과 소녀이다. 이들 조선인 소년, 소녀는 민족주의와 그것을 넘어서 국제주의를 체현한 인물로 형상화되었다. 셋째는 식민 본국 일본에 사는 식민주의를 내면화한 조선인으로, 소설은 조선인이 일본인에게 당하는 차별과 그로 인한 고통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작품들은 소설 속 식민지 조선인의 삶과 고통을 통해 당시 일제 식민주의를 비판하면서 대립과 위계를 내면화한 서구 중심의 근대적 사유에 대한 문제의식도 제기하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ree aspects of the theme of colonial Joseon from the Chinese point of view, with Chinese modern short stories as text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in which Joseon people appear as main characters. The first is the Koreans who resist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se are young Koreans who lost their country in the novel and wander about the anti-Japanese movement. Second, there are various Koreans living in Manchuria. First of all, they are poor Koreans living in Manchukuo(滿洲國),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lony and a multi-ethnic country, and is a Korean who lives a desperate life for survival. Next is a ruthless Korean who commits crimes and tyrannizes against the Chinese with Japan on his back in the city. The last is a Korean boy and girl who overcome poverty and discrimination and awaken the sense of solidarity between the weak and the weak. These Korean boys and girls were embodied as figures who embodied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The third is a Korean who has internalized colonialism living in Japan, the home country of colonialism. The novel embodies the discrimination Koreans are subjected to by the Japanese and the resulting pain. These works criticize Japanese colonialism at the time through the lives and sufferings of colonial Koreans in the novels, and also raise a critical mind about Western-centered modern thought that internalized confrontation and hierarc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