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흑구는 수필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수양동우회 사건에 연루되기 이전까지 시인으로서의 활동이 더 활발했던 문학인이다. 당대 해외문학파 일군 대다수가 일본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여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식민지 조선의 미디어를 장악해간 것에 반해, 한흑구는 도미(渡美) 이후 약 6년간 미국에 체류하면서 미국 본토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특수한 이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 때문에 미국을 통해 추체험 된 자유주의는 그의 초기 시의 문학적 성과를 가늠하는 데 주요한 통로가 된다. 그의 비평 「문학상으로 본 미국인의 성격」, 「휴머니즘 문학론」, 「미국문학의 眞髓」 등에서 전유한 영문학과 자유주의의 문제는 당대 조선에서 활력을 띠고 있었던 네오휴머니즘, 행동주의, 지성 옹호 등과 같은 근대 전환기 담론들과 관련이 깊다. 한흑구는 이 비평문들을 통해 미국 사회가 자본주의와 자유를 저속하게 수용한 양상들을 분석하면서, ‘자유’의 참뜻에 관해 탐구하려고 했다. 가령, 초기 시 <甲板 우에서>, <밤 電車 안에서>, <自然·人生>, <자유> 등에서의 “자유”는 계급적 모순 상황과 연동하여 사유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배금주의로 경도된 자본주의의 그릇된 수용으로 인해 피폐해져 가는 민중들의 삶의 현장을 형상화하고 있는 시편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한흑구는 자유와 평등을 서로 다른 가치로 구분하려 했던 것이 아니라, 두 가치 모두가 진정한 민주주의에 다다르는 근대 서구의 사상이라고 인지한 것이다. 아울러 미국 사회에서 신휴머니즘이나 프래그머티즘이 근대를 전환하는 새로운 사상적 돌파구로 인지됐듯이, 조선에 현실에서도 전유할 사상적 맥락을 자신의 시를 통해 모색하고자 했으며, 더 나아가 일제에 항거하여 조선이 근대 국가로 존립하기를 희망했다.


Han Hek-gu is well known as a prose writer, but before his involvement in the Suyangdongwoo incident, he was more active as a poet. Unlike the majority of the literary figures of the time who studied English literature in Japan and dominated the media of colonial Korea in the 1930s, Han had a unique background of studying English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for about 6 years. Therefore, the liberalism he experienced through the United States became a major pathway to understand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his early poetry. In his critiques “The American Character in Literature,” “Humanism in Literature Theory,” and “The Integrity of American Literature,” the issues of English literature and liberalism that he dealt with are closely related to contemporary discourses such as neo-humanism, humanisme de l`action progressivism, and advocate of intelligence that were vibrant in colonial Korea at the time. Through these critiques, Han analyzed the way American society cheaply accepted capitalism and freedom, and sought to explore the true meaning of ‘freedom’. For example, the “freedom” in his early poems such as “On the Deck,” “Inside the Night Train,” “Nature and Life,” and “Freedom” are characterized by being linked to class conflicts. These poems can be seen as depicting the lives of the people who are becoming increasingly degraded due to the distorted acceptance of capitalistic imperialism. Han did not try to differentiate freedom and equality as separate values, but rather recognized them both as concepts that lead to true democracy in modern Western thought. Similarly, as neo-humanism and progressivism were recognized as new ideological breakthroughs in American society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ity, he sought to explore similar ideological contexts in his poetry in colonial Korea, and further hoped for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 as a modern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