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국민국가 분과학문으로서의 역사학 연구가 지금까지 세종대의 역사상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세종의 훈민정음 제정이라는 특정 주제에 대한 국어사 연구라는 특정 분과학문의 연구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이 연구는 그렇게 세종의 훈민정음 제정과 관련된 국어사 연구를 통해 형성되어 있는 분과학문 지형이 보여주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넘는 연구를 진행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연구는 고유한 민족의 언어와 문자의 기원을 아득한 시간을 거슬러 실체화해 온 국어사 연구의 훈민정음 관련 통설의 주요 논지들을 되짚어 보고 그 문제점들을 논하려는 것이다. 동시에 이런 작업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15세기 세종대 훈민정음의 제정에 관한 새로운 해석과 역사상을 제공함으로써, 지금 그리고 앞으로 우리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역사관과 서사를 발견해내고 실천하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통설을 대표할 수 있는 이기문의 연구를 주로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통설을 지지하는 학자들이 그를 “기념”하는 방식과는 달리 그의 훈민정음 제정에 대한 연구를 기억하고자 한다.


This paper seeks to offer a post-colonial critique on the narrative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國語史)” in the studies of Hunmin chŏngŭm and its problems represented mainly in Lee Ki-moon’s works within the post-1945 historical context of Cold War era. Going beyond this still dominant nationalist narrative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which have continuously substantialized only the images of “Self” being uniquely Korean, this paper tries further to provide new transnational interpretations on the history of Sejong’s Hunmin chŏngŭm project within the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of late 14th and early 15th century East Asia. Then this paper finally tries to talk about what these new interpretations can contribute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realities of ever-globalizing world we are facing now.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 ,

Hunmin cchŏngŭm, Ŏnmun, Sejong, Sinographic Cosmopolis, Vernacular Korean, Korean Vernacular Alphabet, Lee Ki-moon, Choi Malli, Hangŭ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