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후반 이래 성립·전개된 일본의 근대 역사학은 서구와의 접촉 이후 근대화와 제국주의화를 동시적으로 전개했던 일본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일본민족의 발전상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런데 일본인들은 서구와의 접촉 이후 아시아를 무대로 일본을 사고하며, 과거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거부하고 중국을 비롯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상대화하며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공간으로서 동양을 창출했다고 이야기된다. 여기서 일본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아시아를 벗어나 서구화에 성공하여 아시아의 연대를 이끄는 선도자였다. 일본의 근대화·제국주의화가 그러했듯이 국가 권력의 주도하에서 설립된 대학·연구소 등과 같은 학술-제도에서 양성된 일본의 역사가들이 구성해 낸 과거의 이야기는 동양을 무대로 일본민족이 탈아와 아시아연대의 주인공으로서 발전해 온 과정이자 이 두 가지 과제에 역사적 필연성을 실증해내는 것이었다. 일본만이 가능했던 탈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정체·지체되어 이에 실패한 한국, 중국 등의 타자는 필수적이었다. 우리가 ‘정체성론’이라고 정리해 온 과거 일본인 역사가들의 한국사관은 바로 일본만이 가능했던 서구화를 비추기 위한 것이었으며, 양자는 쌍을 이루어야 그 의미가 완성된다. 한편 아시아연대의 주도자가 일본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역사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는 아시아 동쪽 끝 섬나라 일본의 과거는 아시아 대륙의 역사적 전개와 함께 했다는 것을 드러내야만 했다. 이때 일본에 근접한 반도의 한국사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띤다. 저들의 시각에서 한국은 만주, 몽골, 중국 등 대륙 세력들의 각축과 그 영향력이 절대적인, 대륙의 역사적 변화가 응축된 장소이며, 일본이 유사 이래 이러한 한국에 관계를 맺게 됨에 따라 일본사는 대륙의 역사적 변화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한국사의 ‘타율성론’이라고 정리해 온 것은 일본사를 대륙의 역사적 전개에 연결시키는 것이었으며, 이렇게 볼 때 이른바 ‘타율성론’을 통해 일본사는 대륙의 역사와 접속되어 일본을 중심으로 동양사를 새롭게 정리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본민족을 주인공으로 하는 저들의 과거에 대한 실증 – 일본의 근대 역사학적 성격이 더 도드라질수록 한국사를 비롯한 여타 아시아의 역사는 더욱 정체되고 타율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한편 아시아를 무대로 일본민족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려 했던 식민주의 역사학의 조망은 전후에도 그 영향력을 미쳤다. 이는 1945년 이후의 일본 학계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미국학계에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이미 지적되듯이 과거 일본인 연구자들이 만주사에 대한 관점은 신청사의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는데, 이는 한국사에 대한 사항에도 마찬가지로 보인다. 전후 동북아시아에서 각종 경제적 원조를 펼치며 근대화론을 이야기했으며, 일본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의 확산을 저지하며 미국의 국익과 패권을 추구했던 미국의 정책기조는 묘하게도 한국의 봉건제 결여를 이야기하며 내재적 근대화의 불가능성을 주장하면서 일본을 중심으로 ‘동양’을 그리고자 했던 일본인 역사가들의 구상과 닮아 있었다. 특히 전후 허약한 군주제와 강력한 양반귀족의 지속이라는 미국학계가 그려낸 한국의 역사상은 나이토 고난과 이나바 이와키치로 대변되는 식민주의 역사학자들이 그려낸 한국사의 모습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1945년 이후에도 식민주의 역사학적 조망과 연구가 변형되어 확장될 가능성을 담고 있다면, 이러한 맥락에서도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더욱 큰 것이다.


The modern historiography of Japan, developed since the late 19th century, revealed the progress of the Japanese people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Japanese society, which developed modernization and imperialism at the same time after contact with the West. However, it is said that the Japanese thought of Japan in Asia after contact with the West, rejected the Chinese-centered worldview in the past, relativeized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and created the Tōyō as a new space centered on Japan. In Tōyō, Japan was the only one in Asia to succeed in Westernization out of Asia and lead the solidarity of Asia. Japanese historians’ study of Korean history was to explain the historical inevitability of the task of “Out of Asia” and “Asian Solidarity” that the Japanese imposed on themselves to achieve modernization and imperialism. In order to explain the “Out of Asia” that only Japan was able to do, the others such like Korea and China, which were historically stagnant and failed, were essential. The view of Japanese historians to Korea’s past, which we have summarized as “the stagnation theory”, was aimed at reflecting Westernization, which was only possible by Japan. And in order to historically show that Japan was bound to be the leader of the Asian Solidarity, it had to reveal that the past of Japan, the island nation at the eastern end of Asia, was accompanied by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sian continent. At this time, the Korean history of the peninsula close to Japan takes on more important meaning to them. From their point of view, Korea is a place where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continent are condensed, with the absolute influence of continental forces such as Manchuria, Mongolia, and China, and Japanese history can be linked to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continent as Japan has established relations with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history. What we have summarized as the “Heteronomy Theory” of Korean history is to connect Japanese history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ntinent, and in this regard, the so-called “Heteronomy Theory” opens the way for Japanese history to be newly organized around Japan. If so, the more prominent the character of Japan’s modern historiography is, the more stagnant and heteronomous the history of other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n history, is revealed. Meanwhile, the view of colonialist historiography had its influence even after the war. This didn’t stop in Japanese academia after 1945, but it seems likely to affect American academia. The U.S. policy stance in the northeast Asia, which sought U.S. national interest and hegemony by blocking the spread of socialism centered on Japan, resembled the idea of Japanese historians who wanted to paint the Tōyō centered on Japan, talking Korea's lack of feudalism and insisting on the impossibility of internal moder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