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히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내용 요소’가 사실·개념적 지식에 편중되어 있었다. 절차적 지식이나 메타인지 지식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내용 요소’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절차적 지식과 메타인지 지식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내용 요소’의 보완을 제안하였다. 역사학의 방법론과 탐구양식 및 사고 기능과 관련한 절차적 지식을 ‘내용 요소’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고, 역사의 ‘실천 전통’ 속에서 역사를 학습할 수 있도록 메타인지 지식 유형의 ‘내용 요소’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기능’이 ‘이해하다’라는 낮은 수준의 인지과정에 집중이 되어 있지만, 높은 수준의 인지과정도 적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고차원적 사고 기능을 강조한 교육과정적 추세가 반영된 결과라고 하겠다. 그러나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기능’을 나타내는 데 활용된 행동 동사가 중복된 경우, 각각의 의미가 모호한 경우도 보였다. 이처럼 행동 동사가 중복 사용되어 의미가 모호해지는 경우, 행동 동사의 중복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명료성의 제고를 위해 성취기준 해설을 함께 작성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and classified the curricular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Bloom's new taxonom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irst, the 'content' of the curricular achievement standard was concentrated on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There were few 'content' that could be classified into procedural or metacognitive knowledge typ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dding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related to historical thinking habits and inquiry skills should be seen with stronger emphasis. Also, meta-cognitive knowledge such as aims and values in whole practices of the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as a content of history curriculum. Second, although it was focused on certain cognitive process. However, it was also distributed to other cognitive processes such as 'analyse', 'evaluate', and 'create'. Still, the verbs used in curricular achievement standards often overlapped, in which case the meaning of each curricular achievement standard became ambiguous. If the meaning becomes ambiguous due to the overlapping use of certain verbs, it is possible to write a commentary on each curricular achievement standard to clarify or not to use an overlapping verb.